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1333
한자 士昌祠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필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이전 시기/일시 1891년연표보기 - 사창사 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두룡리로 이건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1년 - 사창사 개수
현 소재지 사창사 -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두명길 49-5[두룡리 306]지도보기
성격 사우|사당
양식 맞배지붕|익공식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1칸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두룡리에 있는 이숭인의 영정을 모신 사우.

[개설]

사창사(士昌祠)는 성주 이씨(星州 李氏)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1347~1392)을 모신 사우(祠宇)이다. 성주 이씨는 16세기 후반 남포 지역에 입향하였는데, 어느 시점으로 정확하게 특정할 수 없지만, 이숭인의 사우를 건립하고 추모하고 있다. 이숭인은 고려 말의 학자로, 공민왕(恭愍王)[재위: 1351~1374] 대 문과에 급제하고, 예의산랑(禮儀散郞), 예문응교(禮文應敎), 문하사인(門下舍人),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1337~1392)가 살해되었을 때 일당으로 몰려 유배를 갔으며, 정도전(鄭道傳)[1342~1398]의 심복 황거정(黃居正)에게 유배지에서 살해당했다. 보통 고려 삼은(三隱)으로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 포은 정몽주, 야은(冶隱) 길재(吉再)[1353~1419)를 일컫지만,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야은 길재 대신 도은 이숭인을 넣기도 한다.

[위치]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두룡리 두루니마을에 있다.

[변천]

처음에는 보령시 남포면 소송리에 사우가 건립되었으나, 사우가 퇴락하자 1891년 후손들이 보령시 웅천읍 두룡리로 이건하였다. 두룡리에는 이숭인의 11세손 이형원(李馨元)의 효자 정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1991년 개수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형태]

맞배지붕의 익공식 건물이다.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1칸이다. 정면에 ‘사창사’라는 편액이 걸려 있으며, 내부에 이숭인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

[현황]

성주이씨대종회에서 음력 10월 14일 사창사에서 도은공 이숭인과 판서공 이숭문(李崇文)에게 시향제(時享祭)를 지내고 있다.

[참고문헌]
  • 『보령시지』(보령시지편찬위원회, 2010)
  •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https://portal.nrich.go.kr)
  • 성주이씨대종회(http://www.sungjulee.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