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306
한자 眞竹里
영어공식명칭 Jinjuk-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진죽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충청남도 보령군 청소면 진죽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충청남도 보령군 청소면 진죽리에서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진죽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5.52㎢
가구수 463가구
인구[남/여] 854명[남 424명|여 430명]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에 속하는 법정리.

[개설]

법정리는 법률로 정하여진 리로서 지번의 기준이 되며, 법정리에는 인구와 생활권을 고려하여 1개 또는 여러 개의 행정리가 설치된다. 행정리는 20~100여 가구가 모여 사는 전통적인 촌락을 기초로 하는 경우가 많다. 법정리와 행정리로 구분되는 리는 우리나라에서 읍·면 지역의 하부 말단 단위로, 주로 농어촌 지역에 존재한다. 법정리로서 진죽리(眞竹里)의 지리적 특성은 명칭 유래, 형성 및 변천, 자연환경, 현황 등의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다.

[명칭 유래]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조선 후기 보령군(保寧郡) 장척면(長尺面) 지역의 진목정(眞木亭)과 죽하(竹下)의 이름을 따서 ‘진죽리(眞竹里)’라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형성 및 변천]

본래 보령군 장척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내상리(內上里), 송암리(松岩里), 외상리(外上里), 진목정리, 마참리(馬站里), 사동(蛇洞), 죽하리, 후동(後洞) 일부와 청소면(靑所面)의 건정리(乾井里) 일부를 병합하고 ‘진죽리’라 하여 보령군 청소면(靑所面)에 편입되었다. 이후, 1995년 1월 1일 보령군이 시로 승격하면서 보령시 청소면 진죽리로 변경되었다.

[자연환경]

진죽리의 대부분의 지역이 높이 50여m 이하의 저평지를 형성하고 있다. 저평지 내에는 높이 20~50m의 소구릉지들이 중부와 동부를 중심으로 산재하고 있다. 저평지에서는 논농사가 이루어지고 있고, 소구릉지에는 자연마을들이 자리하고 있다. 소구릉지에서는 밭농사가 매우 국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북부의 경계 일대에는 천수만(淺水灣)의 갯벌을 개간한 간척평야가 있다. 중서부에서는 비교적 규모가 큰 진죽저수지가 축조되어 있다. 서부는 천수만(淺水灣)에 접하고 있어서 관련 해안지형이 나타나고 있는데, 서부 해안에는 약간의 사빈해안과 일정 규모의 습지가 나타나고 있다. 서부 해안의 습지는 간척평야로 개간 중이다.

[현황]

진죽리청소면의 서부 끝 부분에 자리하고 있으며, 동쪽은 재정리·정전리에, 서쪽은 보령방조제 안쪽의 천수만 갯골에, 남쪽은 장곡리에, 그리고 북쪽은 신송리에 각각 접하고 있다. 면적은 2022년 4월 기준으로 5.52㎢이다. 행정리는 진죽1~4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연마을로는 진죽1리에 평촌, 마참 등이, 진죽2리에 죽하동 등이, 진죽3리에 평판, 덩굴말, 송암동 등이, 진죽4리에 샘봉 등이 각각 있다[보령시행정지도 기준]. 가구와 인구의 분포를 보면, 2020년 12월 31일 기준 463가구에 총 854명으로 남자가 424명, 여자가 430명이다.

서해안고속국도가 리의 중동부에서 북동-남서 방향으로 지나고 있다. 국도 제21호선이 중동부에서 북동-남서 방향으로 지나면서 개설되어 있다. 지방도 제610호선이 남동부의 청소면행정복지센터 일대를 동서 방향으로 지나면서 개설되어 있다. 시도는 동남부에서 리의 면소재지 일대를 동서 방향으로 지나면서 개설되어 있다. 장항선 철도가 리의 동남부에서 북동-남서 방향으로 지나면서 개설되어 있고, 진죽1리에 청소역(靑所驛)이 설치되어 있다. 주요 시설로는 청소면행정복지센터가 있고, 진죽2리에 청소초등학교가 있고, 진죽3리에 진죽저수지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