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901
한자 忠靖公 李時昉 神道碑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비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영보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사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594년 - 이시방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660년 - 이시방 사망
문화재 지정 일시 2019년 5월 10일연표보기 - 충정공 이시방 신도비 충청남도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지정
현 소재지 충정공 이시방 신도비 -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영보리 지도보기
성격 신도비
양식 갓머리 비석
관련 인물 이시방
재질 화강석
크기(높이, 너비, 두께) 7㎝[대좌 높이]|110㎝[대좌 너비]|38㎝[대좌 두께]|123㎝[비신 높이] 58㎝[비신 너비]|27㎝[비신 두께]|57㎝[이수 높이]|68㎝[이수 두께]
소유자 연안이씨충정공파 종중
관리자 연안이씨충정공파 종중
문화재 지정 번호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9호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영보리에 있는 조선 후기 공신 이시방의 신도비.

[개설]

충정공 이시방 신도비(忠靖公 李時昉 神道碑)는 조선 후기 인조반정(仁祖反正)[1623]에 참여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 2등에 녹훈된 이시방(李時昉)[1594~1660]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신도비는 김노동(金魯東)이 썼다.

[이시방의 생애]

이시방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계명(季明), 호는 서봉(西峯)이다. 아버지는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1557~1633]이며, 형은 영의정 이시백(李時白)[1581~1660]이다. 이시방은 1623년(인조 원년) 인조반정 때 유생으로 아버지와 함께 가담해 정사공신(靖社功臣) 2등으로 연성군(延城君)에 봉해졌다.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에 활약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순검사(巡檢使)가 되었으며,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 나주목사(羅州牧使),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 제주목사(濟州牧使), 호조참판(戶曹參判), 병조참판(兵曹參判), 공조판서(工曹判書) 등을 거쳤다. 1649년(인조 27) 효종(孝宗)[재위: 1649~1659]이 즉위하자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에 임명되었으며, 형조판서(刑曹判書), 호조판서(戶曹判書) 등을 거쳤다. 1660년(현종 1) 병으로 사망하였으며, 추후 영의정(領議政)으로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서봉일기(西峯日記)』가 있다.

[위치]

충정공 이시방 신도비오천면에 있는 충청수영성에서 남쪽으로 약 1.5㎞ 떨어져 있는 영보1리에 있다.

[형태]

충정공 이시방 신도비는 대좌 및 비신, 이수로 구분된다. 이수는 사면으로 쌍룡과 운문이 조각되어 있다. 대좌는 화강석재를 사용했으며, 상단부는 연꽃이 조각되어 있다. 대좌의 크기는 높이 7㎝, 너비 110㎝, 두께 38㎝이고, 비신은 높이 123㎝, 너비 58㎝, 두께 27㎝, 이수는 높이 57㎝, 두께 68㎝이다.

[현황]

신도비는 비각으로 보호되고 있다. 신도비에서 북동쪽으로 약 100m 떨어진 사면에 이시방의 묘가 있다. 묘의 좌우로는 석수, 관모를 쓰고 홀(笏)을 손에 든 석인상과 장명등이 1구씩 세워져 있다. 2019년 5월 10일 보령시 향토문화유산 제9호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 『보령시지』(보령시지편찬위원회, 2010)
  •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https://portal.nrich.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