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1054
한자 保寧‒愛鄕博物館
영어공식명칭 Boryeong Aehyang Museum
이칭/별칭 보령댐수몰기념관,보령댐애향의집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지명/시설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미산면 판미로 867-27[평라리 46-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보령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2007년 11월 15일 - 보령댐애향의집 준공
개관|개장 시기/일시 2007년 11월 15일연표보기 - 보령댐애향의집 개관
개칭 시기/일시 2016년 6월연표보기 - 보령댐애향의집에서 보령댐애향박물관으로 개칭
최초 설립지 보령댐애향의집 - 충청남도 보령시 미산면 용수리 지도보기
현 소재지 보령댐애향박물관 - 충청남도 보령시 미산면 판미로 867-27[평라리 46-8]지도보기
성격 박물관
면적 16,518㎡[대지 면적]|764㎡[건축 연면적]
전화 041-934-8899
홈페이지 보령시시설관리공단(https://www.brsisul.or.kr/kor/sub01_04_01.do)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미산면에 있는 보령시시설관리공단에서 운영하는 박물관.

[개설]

보령댐애향박물관보령댐 건설로 수몰된 지역의 역사를 보존하고 이주민들의 애향심과 망향심을 고취하는 역사의 산 교육장이다.

[건립 경위]

보령댐[1996년 10월 담수 시작] 건설로 인하여 수몰 지역의 이주민들의 애환을 달래기 위해 2007년 보령댐애향의집을 준공하고 여러 시설물을 설치하였다. 보령시 미산면은 1990년대 초까지 1,400여 세대 총 6,000여 명이 거주하였으나, 보령댐이 들어서면서 주민들이 이주하기 시작하여 2022년 11월 30일 기준 1,025세대 1,69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변천]

2016년 6월 보령댐애향의집에서 보령댐애향박물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구성]

1층 중앙에는 보령댐이 건설되기 전 9개 마을의 모습을 담은 영상이 있어 수몰 지역의 옛 모습을 볼 수 있다. 전시실에는 도구와 유물, 특산물, 농기구 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자연생태관 및 종합영상실 등이 설치되어 있다.

[참고문헌]
  • 보령시청(https://www.brcn.go.kr)
  • 보령시시설관리공단(https://www.brsisul.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