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협동조합중앙회 대구지역본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3537
한자 農業協同組合中央會 大邱地域本部
영어공식명칭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Daegu Regional Headquarters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신암로 67[대현동 332-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진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63년 9월 - 농업협동조합 대구지소 개점
개칭 시기/일시 1981년 10월 - 농업협동조합 대구지소에서 농업협동조합 대구시지회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0년 7월 - 농업협동조합 대구시지회에서 농업협동조합중앙회 대구지역본부로 개칭
최초 설립지 농업협동조합 대구시지회 - 대구광역시 중구
주소 변경 이력 농업협동조합중앙회 대구지역본부 - 대구광역시 수성구 중동 지도보기
현 소재지 농업협동조합중앙회 대구지역본부 - 대구광역시 북구 신암로 67[대현동 332-3]지도보기
성격 협회
전화 053-940-6200

[정의]

대구광역시 북구 대현동에 있는 농협 소속 지역 본부.

[개설]

농협중앙회 대구지역본부는 농업협동조합법에 의거하여 지역 농협들의 업무 지원과 경영관리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설립 목적]

농업협동조합중앙회는 회원의 공동 이익 증진과 건전한 발전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농업협동조합은 1961년 7월 구 「농업은행법」과 구 「농업협동조합법」을 폐기하고 새로운 「농업협동조합법」이 공포되면서 1961년 8월에 구 농협과 농업은행이 통합된 종합농협으로 발족되었다. 1967년 정부의 「농협기본법」 공포를 계기로 1968년 농림부와 정부 양곡 취급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1969년부터 상호금융 업무와 외환 업무 취급을 시작하였다. 2000년 7월에는 농·축·인삼협중앙회 통합으로 통합농협이 발족되었다.

농업협동조합중앙회 대구지역본부는 1961년 8월 달성군조합 설립을 시작으로 1963년 9월 대구지소를 개소하였으며, 1981년 10월 대구시지회를 발족하였다. 2000년 7월 축협중앙회와 통합하면서 명칭을 현재의 농협중앙회 대구지역본부로 변경하였다. 2012년 사업 구조 개편으로 농협은행, 생명보험, 손해보험, 농협중앙회 등으로 분리되면서 독립 법인으로 운영하게 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주요 사업은 교육·지원사업, 농업 경제사업, 축산 경제사업, 상호금융 사업, 금융지주회사법에 따른 금융업 및 금융업의 영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회사의 사업, 그리고 국가나 공공단체가 위탁하거나 보조하는 사업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교육·지원사업은 회원의 조직 및 경영지도, 조합원과 직원에 대한 교육·훈련 및 농업·축산업 등 관련 정보의 제공, 회원과 조합원의 사업에 관한 조사·연구 및 홍보 등이 있다. 농업과 축산 경제사업으로는 회원을 위한 구매·판매·제조·가공 등의 사업, 회원과 출자 법인의 경제사업 조성 및 지원사업 등을 한다. 그리고 상호금융 사업으로는 농업협동조합법 시행령에 따른 회원의 여유자금과 회원의 상환준비금의 운용·관리, 회원의 신용 사업 지도, 회원의 예금·적금 수납·운용 등을 하고 있다.

2012년 농협 사업 구조 개편 이후 대구지역본부는 대구 지역 20개 지역 농협의 업무 지도·지원사업과 경영관리, 전산 공급 등을 중심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현황]

대구광역시에는 20개의 지역 농협이 있으며, 농업협동중앙회 대구지역본부는 이들 지역 농협의 업무를 지도,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020년 12월 기준, 대구지역본부에는 2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참고문헌]
  • 「내부자료」(농협중앙회 대구지역본부)
  • NH농협(http://www.nonghyup.com)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