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창 묘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689
한자 全慶昌 墓表
영어공식명칭 Joen-kyung chang’s grave mark
이칭/별칭 전경창의 묘표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587년연표보기 - 「전경창 묘표」 창작
배경 지역 전경창 묘 -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지도보기
성격 묘갈류|묘표

[정의]

대구 출신 조선 전기 학자인 전경창의 외손이 지은 전경창의 묘표.

[개설]

「전경창 묘표(全慶昌 墓表)」의 묘 주인 전경창(全慶昌)[1532~1585]은 본관이 경산(慶山)이며, 자는 계하(季賀)이고, 호는 계동(溪東)·만오(晩悟)이다. 정헌대부(正憲大夫) 예조판서(禮曹判書)인 문평공(文平公) 전백영(全伯英)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전순(全珣)이고, 어머니는 김해송씨(金海宋氏) 송식(宋軾)의 딸이다. 이황(李滉)[1501~1570]의 문인이다. 16세기 후반부터 대구 지역의 유학은 이황의 성리학이 주류를 이루었는데, 전경창퇴계 이황의 성리학을 대구에 전파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숙량(李淑樑)[1519~1592], 정구(鄭逑)[1543~1620] 등과 교류하였다. 대구의 연경서원(硏經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계동집(溪東集)』이 있다. 전경창은 지금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출신이며, 전경창의 묘도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에 있다.

전경창에게는 아들이 없고 딸이 넷이었다. 장녀는 사인 박양형(朴陽亨)에게 출가하였는데 후사가 없고, 차녀는 사인 송광홍(宋光弘)에게 출가하여 1남을 두었는데 이름이 송시인(宋時寅)이다. 3녀는 현감 이종문(李宗文)에게 출가하여 2남 1녀를 두었는데 두 아들 이지영(李之英)·이지화(李之華)는 둘 다 문과에 급제하였다. 4녀는 사인 손기업(孫起業)에게 출가하였다. 묘표에는 단지 ‘외손근서(外孫謹書)’라고 쓰여 있어 「전경창 묘표」의 작자를 특정할 수 없다. 외손이 모두 함께 작업한 듯하다. 묘표는 무덤 앞에 세우는 푯돌과 푯돌에 새기는 글을 아울러 가리킨다.

[구성]

「전경창 묘표」전경창 세계(世系)·관직(官職)·후사(後嗣)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전경창 묘표」전경창의 성명·자호(字號)·관향(貫鄕)·선조·현조(顯祖)·부모·가족 구성·행적·처·자녀에 대한 정보가 순서대로 간략하게 제시되어 있다. 찬자(撰者)의 송사(頌辭)는 25자(字)에 그치고 있다.

[특징]

「전경창 묘표」는 묘 주인에 대한 단순 정보의 나열에 그치고, 찬자의 송사는 극히 일부분이다. 실제 묘표에 새겨진 내용을 베껴 문집에 수록하였다. 내용 가운데 6자의 결자(缺字)가 보인다.

[의의와 평가]

「전경창 묘표」는 조선 전기 묘표 양식의 일면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