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1154
한자 月滋
영어공식명칭 dalburi, divination with Beans, swelling with the moon
이칭/별칭 달불음,월자(月滋),콩점[豆占],콩불음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서모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풍속
의례 시기/일시 음력 1월 15일 정월대보름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에서 정월 대보름날 물에 콩을 불려서 12달의 각 운을 점쳐보던 풍습.

[개설]

달불이정월대보름의 풍습으로 우물물에 넣어 두었다 꺼낸 콩의 불은 상태를 토대로 열두 달의 운을 짐작해보는 풍습이다. 콩을 사용해서 운을 점쳐보는 것이기 때문에 콩점, 콩불음이라고도 한다. ‘불이’는 이러한 종류의 풍속을 이르는 말로 각 달의 운을 점쳐보는 달불이, 각 집의 운을 확인해보는 집불이, 그리고 집안 식구들의 한해 운수를 확인하는 식구불이 등이 있다.

[연원 및 변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는 정월 상원(上元), 즉 대보름의 풍습으로 월자(月滋)를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곧 달불이이다. 월자의 풍습은 다음과 같다. 보름 전날 수수깡을 반으로 쪼개어 그 안에 콩 열두 개를 넣고 묶어서 우물 속에 넣는다. 보름날 새벽에 꺼내 본 뒤 콩이 불은 정도에 따라서 홍수나 가뭄 피해를 점쳐 본다.

[절차]

음력 1월 14일, 수수깡을 반 가른 다음 갈라서 그 안에 각 달을 상징하는 콩 열두 개, 혹 윤달이 끼어 있으면 열세 개를 넣는다. 다시 수수깡을 합쳐 잘 묶은 뒤 우물에 던진다. 정월대보름 새벽에 우물물에서 수수깡을 꺼내어 각 달을 상징하는 콩의 불은 상태를 보고 각 달의 농사 운을 점치는데, 콩이 잘 불어있는 달에는 가뭄이나 홍수 등의 피해가 없을 것으로 본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동작구지』[1994]에 의하면 동작구에서도 『동국세시기』의 월자와 동일한 방식의 달불이 풍습이 있었다. 구술자[김순녀]에 따르면 달불이와 유사한 풍습으로는 집불이와 식구불이가 있었는데 같은 방식으로 하되, 집불이는 각각의 집 별로, 식구불이는 식구대로 콩을 박아서 그 해의 운을 점쳐보는 것이다. 식구불이의 다른 방법으로는 접시에 기름을 담고 심지를 만들어서 불을 켜서 불이 잘 붙는 심지의 식구는 운이 좋을 것으로 여기기도 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