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장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651
한자 -歌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서해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9년 - 「자장가」 광주광역시 서구 양동 주민 김봉순에게 채록
채록 시기/일시 1999년 - 「자장가」 광주광역시 서구 농성동 김정순 홍화옥 등에게 채록
채록 시기/일시 2018년 - 「자장가」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박사순에게 채록
채록지 광주광역시 서구 양동|광주광역시 서구 농성동지도보기
채록지 화산마을 -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지도보기
성격 민요
가창자/시연자 박사순|김봉순|김정순|홍화옥

[정의]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화산마을을 비롯하여 광주 지역에서 아이를 재우거나 어를 때 부르는 민요.

[채록/수집 상황]

「자장가」는 2018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증보한국구비문학대계' 사업의 일환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화산마을 박사순[1944년생]에게 채록하였고, 1999년에 『광주의 민요』 발간 사업의 일환으로 광주시 서구 양동 김봉순[1935년생], 광주시 서구 농성동 김정순[1911년생], 홍화옥[1913년생] 등에게 채록한 노래이다.

[구성 및 형식]

「자장가」는 독창으로 불리며, 사설은 4음절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자장가」 사설 일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 애기 잘도 잔다/ 울 애기는 꽃밭에다 재와 주고/ 놈 애기는 개똥밭에다 재와 주고/ 자장 자장 잘도 잔다/ 우리 아기 잘도 잔다

멍멍 개야 짖지 마라/ 꼬꼬 닭아 울지 마라/ 우리 아기 잘도 잔다/ 자공자공 우리 아기/ 엄마 품에 폭 안겨서/ 칭얼칭얼 잠 노래를/ 늦췄다가 또 하면서/ 쌔근쌔근 꿈나라로/ 저녁놀~ 사라지면/ 돋아오를 밝은 달이/ 우리 아가 잠든 얼굴/ 곱게 곱게 비춰 주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자장가」는 아이를 재우거나 어르면서 아이에 대한 건강과 무병을 기원하는 노래인데, 부모의 아이에 대한 무한한 애정과 기대가 한껏 표출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자장가」는 지역에 따라 구술자에 따라 사설 내용은 다양하며, 오늘날에도 많이 구술되고 있는 노래로, 부모의 자식에 대한 애정이 구체적으로 표출된 대표적인 민요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