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385
한자 月谷洞靑少年文化-
영어공식명칭 Wolgok-dong Youth Culture Center
이칭/별칭 야호센터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지명/시설
지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 340번 안길 5[월곡동 681-5]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다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2016년 11월연표보기 - 월곡동청소년문화의집 개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7년 6월 - 월곡동청소년문화의집, 광산구 진로교육지원센터와 업무 협약[서부교육지원청|시공미디어]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8년 5월 - 월곡동청소년문화의집, 공동민주구역 JDA프로젝트 업무 협약[서울오디세이학교]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8년12월 - 월곡동청소년문화의집, 광산구 진로교육지원센터와 「드론으로 만나는 미래사회」 업무 협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9년 5월 - 월곡동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 활동 프로그램 연계를 위한 호남대학교 상담심리학과와 업무 협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9년 8월 - 월곡동청소년문화의집, 예술교육살롱 공모사업 추진을 위한 태이움직임연구소와 업무 협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9년 12월 - 월곡동청소년문화의집, 2019 청소년수련시설종합평가에서 우수 평가
최초 설립지 월곡동청소년문화의집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 340번 안길 5[월곡동 681-5]
현 소재지 월곡동청소년문화의집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 340번 안길 5[월곡동 681-5]지도보기
성격 문화 시설
면적 1,941.36㎡
전화 062-960-6980
홈페이지 야호센터(https://yaho.gwangsan.go.kr)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에 있는 청소년 중심의 복합 문화 수련 시설.

[개설]

월곡동청소년문화의집은 ‘청소년이 인문을 사유하는 삶’, ‘청소년이 예술을 향유하는 삶’, ‘청소년이 마을을 사랑하는 삶’, ‘청소년과 마을 주민 모두가 지금 행복한 삶’, ‘청소년과 마을 주민 모두가 더불어 살아가는 삶’을 모토로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곡동에 설립된 청소년을 위한 복합 문화 수련 시설이다.

[건립 경위]

월곡동청소년문화의집은 『청소년기본법』에 의거하여 '청소년이 행복한 세상을 꿈꾸는 미래'라는 목표 아래 청소년이 편하게 놀 수 있는 공간이자 쉼과 휴식이 있는 공간, 청소년이 지혜와 즐거움을 나누며 스스로 꿈을 디자인할 수 있는 전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월곡동청소년문화의집은 2014년 5월 『청소년기본법』 제28조에 의거한 건립심의소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2016년 11월 개관하였다. 2017년 6월 광주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 시공미디어와 광산구 진로교육지원센터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으며, 2018년 1월에는 마을배움청 '누구나학교'를 1~3차 시범 운영을 하였다. 이어 2월에는 3층에 아트 메이커 스페이스(Art Maker Space) 공간을 조성하였다. 2018년 5월에는 서울오디세이학교와 공동 민주구역 JDA 프로젝트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으며, 같은 해 12월에는 대한드론축구협회, 빛고을드론과 광산구 진로교육지원센터와 '드론으로 만나는 미래사회'란 주제로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다. 2019년 3월 홍연희 센터장이 임명되었고, 4월 광산구 우수 교육 정책 브랜드 상표 '굴링'의 브랜드화 협약을 체결하였다. 같은 해 5월에 청소년 활동 프로그램 연계를 위해 호남대학교 상담심리학과와 업무 협약을 맺었으며, 8월에는 예술 교육 살롱 공모 사업 추진을 위하여 태이움직임연구소와 업무 협약을 맺었다. 2019년 12월에는 2019 청소년수련시설 종합 평가에서 우수 평가를 받았다.

[구성]

월곡동청소년문화의집은 에렌 베커의 동화책 『머나먼 여행』을 모티브로 건물을 구성하였으며, 지하 1층과 지상 3층으로 되어 있다. 지하 1층은 놀이 공간[Yard]으로, 청소년들의 감정을 역동적으로 분출할 수 있는 공간이다. 내부에는 조리실, 밴드실, 댄스실 1, 댄스실 2, 노래실, 야외 공연장이 있다. 지상 1층은 예술 공간[Art]으로, 자본과 욕망에 포위된 일상을 예술적인 삶으로 회복하는 공간이다. 그림책 & 보드게임방은 하하하, 예술작업장 1CM, 똑똑똑 사무실이 있다. 지상 2층은 만남 존중 공간[Hear&Now]으로, 지나온 이야기와 다가올 이야기를 만나는 공간이다. 지상 2층은 강당 넘실, 유스카페 엉뚱바다, 동아리방 풍덩 1, 풍덩 2, 정책실인 첨벙이 있다. 지상 3층은 지혜 공간[Owl]으로, 아트메이커스 맹그소, 마을라디오방 요세주민(謠世住民), 토론방 모두 서원, 필사방 필로서필(筆로徐弼), 공방 수작사계(手作四季)로 구성되어 있다.

[현황]

월곡동청소년문화의집의 주요 사업은 ‘인문 사유, 예술 경험, 사회 참여, 창의 체험’으로 나뉜다. 인문 사유 사업에는 마을 주민 중심 인문 공부 프로그램인 '삶을 위한 인문학', 청소년 중심의 인문 공부 프로그램인 '사유하는 청소년은 힘이 세다’와 피아노 & 인문학, 인문 공부 프로그램 결과물을 출판하고 공유하는 ‘인문 출판 파티’가 있다. 예술 경험 사업에는 버려진 사물을 활용한 업사이클 예술 놀이 ‘프로젝트 12씨’, 마을로 찾아가 업사이클 예술 놀이 ‘예술 놀이터’, 유휴 공간을 활용한 텃밭 가꾸기인 ‘일+삶’, 방과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게릴라 예술 프로젝트인 ‘언능 뚝딱’, 자기 주도적 방과후예술학교인 ‘방가방가’가 있다. 사회 참여 사업에는 청소년이 주도하여 자원봉사를 할 수 있는 ‘상상발룬’, 청소년을 비롯한 성인의 자치 배움을 지원하는 ‘마을 동아리’, 청소년 수련 시설의 운영을 모니터링하는 ‘청소년 운영위원회 메아리’, 광산구 청소년 정책을 제안하는 ‘광산구 청소년 참여위원회’가 있다. 창의 체험 사업에는 학교와 지역이 연계한 창의 체험 활동 ‘생리수다’, 야호센터와 마을, 청소년의 관심사를 청소년의 시선으로 담아 야호센터 소식지를 발행하는 ‘야호센터 청소년 기자단’, 자기 주도 마을배움청인 ‘○○○학교’, 야호센터 곳곳을 탐색하며 놀아보는 ‘야호미션투어’, 3D메이커와 예술이 결합한 창의 융합 아트 메이커스 ‘맹그소’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