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0480
한자 遠池·淵海池 改修 竣工碑
이칭/별칭 원지준공비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마곡리 206-1임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이창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39년 4월연표보기 - 원지·연해지 개수 준공비 건립
현 소재지 원지·연해지 개수 준공비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마곡리 206-1임 지도보기
성격 기념비
관련 인물 임만구
재질 석재
크기(높이,너비,두께) 70㎝[높이]|28㎝[너비]|14㎝[두께]
소유자 경산시
관리자 경산시

[정의]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마곡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저수지 준공 기념비.

[개설]

원지·연해지 개수 준공비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마곡리에 있는 원지(遠池)연해지(淵海池)를 수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1939년에 건립한 비이다. 원지는 1790년(정조 14)에 조성되었으며, 면적은 48,358㎡이다. 자인현청(慈仁縣廳)에서 바라볼 때 못의 제방이 가장 멀리 보인다고 하여 원(遠) 자를 붙여 ‘원지’라 불렀다고 한다.

[건립 경위]

원지·연해지 개수 준공비는 1939년 4월 수리 조합에서 원지와 부속된 연해지를 개수하고 세운 비석이다. 당시 준공을 맡은 수리계장(水利稧長)은 임만구(林萬邱)이다.

[위치]

원지·연해지 개수 준공비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마곡리 206-1에 있다. 자인초등학교에서 지방도925호선을 따라 북쪽으로 3.5㎞가량 이동하면 좌측에 원지가 보인다. 원지 북쪽 면에 있는 못둑의 가장 우측에 배수구가 있는데, 배수구 좌측 콘크리트 시설물이 끝나는 곳 위쪽에 2기의 비석이 세워져 있다. 2기 중 좌측의 것이 원지·연해지 개수 준공비이다.

[형태]

원지·연해지 개수 준공비는 큼직한 받침돌 위에 규수형(圭首形) 비신이 세워져 있는 형태이다. 비신의 크기는 높이 70㎝, 너비 28㎝, 두께 14㎝이다.

[금석문]

원지·연해지 개수 준공비의 비신 전면 중앙에는 ‘원지 동부속 연해지 개수 준공(遠池同附屬淵海池改修竣工)’, 전면 우측에는 ‘소화 십사년 사월 일(昭和十四年四月 日)’, 전면 좌측에는 ‘수리계장 임만구(水利稧長林萬邱)’가 각각 새겨져 있다.

[현황]

원지·연해지 개수 준공비의 비신 하부와 받침돌 상부는 고정을 위해 콘크리트 처리가 되어 있다. 비의 상태는 양호하나, 하부 일부가 매몰되어 제액(題額) 중 ‘비(碑)’ 자가 보이지 않는다. 원지·연해지 개수 준공비 옆에는 1964년 4월에 건립한 박공장원유공비(朴公長源有功碑)가 있다.

[의의와 평가]

원지·연해지 개수 준공비는 일제 강점기 경산 지역 수리 사업의 일면을 보여주는 유적으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