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빈 김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600620
한자 慎嬪金氏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왕족·호족
지역 경기도 화성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왕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406년연표보기 - 신빈 김씨 출생
활동 시기/일시 1418년 - 신빈 김씨 소헌왕후의 궁인이 됨
활동 시기/일시 1427년 - 신빈 김씨 계양군을 출산
활동 시기/일시 1439년 - 신빈 김씨 종1품 귀인에 진봉
활동 시기/일시 1452년 - 신빈 김씨 머리 깎고 승려가 됨
몰년 시기/일시 1464년연표보기 - 신빈 김씨 사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4년 12월 24일 - 화성 남양리 신빈김씨 묘역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
묘소|단소 화성 남양리 신빈김씨 묘역 -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남양리 산131-17 지도보기
성격 후궁
성별
본관 청주(淸州)

[정의]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 세종의 후궁.

[가계]

본관은 청주(淸州). 아버지는 김원(金元)이고 어머니는 삭녕 고씨(朔寧高氏)이다. 6남 2녀를 두었으며, 아들은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 의창군(義昌君) 이공(李玒),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 익현군(翼峴君) 이관(李璭)이다. 계양군과 익현군은 세조의 계유정난을 도왔고, 1455년(단종 3) 세조 즉위 후, 좌익공신(佐翼功臣) 1등에 책정되었다.

[활동 사항]

신빈 김씨(慎嬪金氏)[1406~1464]는 원래 내자시의 여종이었으나, 1418년(세종 1) 13세의 나이로 원경왕후에게 발탁되어 소헌왕후의 궁인이 되었다. 세종의 승은을 입어 후궁이 되었고, 1427년(세종 9) 장남 계양군을 출산하였다. 그 후 정2품 소의를 거쳐 1439년(세종 21년) 종1품 귀인에 진봉되었다. 당시 세종이 도승지 김돈에게 김씨의 출신이 천하지만, 13세부터 궁중에 들어와 행실이 바르기에 빈이나 귀인으로 삼고자 하는데 어떠하냐고 묻자, 김돈이 신개 등과 의논하여 귀인으로 승격시켰다. 이후 정1품 신빈(愼嬪)에 책봉되었다. 소헌왕후는 그녀에게 막내아들 영응대군의 유모 역할을 맡기기도 하였다. 평소에 불교를 신봉하였다. 1450년(문종 1)에 사망한 막내아들 담양군을 위한 경문 인쇄 비용으로 조정에서 쌀 500석을 하사받았으며, 1452년(단종 1) 단종이 신빈의 아들 의창군의 청원에 의하여 신빈에게 머리를 기르도록 명령하였지만, 이를 거절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의창군은 신빈이 절의를 지키기 위하여 머리를 깍고 여승이 되려는 것을 반대하였으나, 모친의 의사를 막지 못하였다.

[묘소]

화성 남양리 신빈김씨 묘역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남양리 산131-17에 있다. 묘소 주위에는 1465년(세조 11)에 세운 묘갈(墓碣)과 묘비, 장명등(長明燈), 문인석 1쌍, 상석(床石)이 있다. 1994년 12월 24일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상훈과 추모]

1464년(세조 10) 사망하자, 세조가 쌀과 콩 70석(石)을 부의(賻儀)로 내려 주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