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601995 |
---|---|
한자 | 綾州-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천덕리 |
집필자 | 이옥희 |
채록 시기/일시 | 1986년 - 「능주 들노래」 『전남의 농요』에 수록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6년 9월 - 「능주 들노래」 제15회 남도 문화제 출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7년 - 「능주 들노래」 『한국 구비 문학 대계』에 수록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1년 - 「능주 들노래」 『한국 민요 대전 전라남도 민요 해설집』에 수록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3년 - 「능주 들노래」 『화순의 민요』에 수록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9년 10월 18일 - 「능주 들노래」 화순 풍류 문화 큰잔치 풍류상 수상 |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일대에서 전승되고 있는 들노래.
[개설]
능주는 예로부터 농토가 비옥하고 광활한 들이 펼쳐져 있어 들노래를 부르며 농사를 짓는 모습은 가히 장관이었다. 하지만 농업의 기계화가 가속화되고 농촌 공동체 문화가 약화되면서 들판에서는 더 이상 들노래를 들을 수 없게 되었다.
[채록/수집 상황]
1986년 전남 대학교 지춘상 교수에 의해 수집 채록[채보]되어 『전남의 농요』에 수록되었고, 1991년 『한국 민요 대전 전라남도 민요 해설집』에 채록되었다. 1993년 강동원에 의해 『화순의 민요』에 수록되었다.
[구성 및 형식]
「능주 들노래」는 모판 노래, 모찌기 노래, 모심기 노래, 논매기 노래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능주 지역에서는 모판을 만들 때, 모를 찔 때, 모를 심을 때와 논을 맬 때 그리고 만드리[마지막 김매기]가 끝난 후 마을에 들어올 때 소리를 했다고 한다. 모를 심을 때는 상사소리[늦은 상사소리, 잦은 상사소리]를 했다. 논은 네 번 매는데 초벌, 한벌, 군벌, 만드리라고 불렀다. 초벌은 호미로 매며 세우자 소리를 했다. 한벌에는 매화타령, 군벌에는 개타령을 부른다. 만드리 때는 두룸박타령, 방아타령 등을 불렀다.
1. 「모판 노래」
오~ 호~ 헤~ 위 휘 라/ 무등산 상상봉에 감감도는 저 구름아/ 오~ 호~ 헤~ 위 휘 라/ 이 산정 저 들판이 어찌 좋아 떠날 줄 모르느냐/ 오~ 호~ 헤~ 위 휘라/ 우리 군주 심은 남구(나무) 삼정승이 물을 주어/ 오~ 호~ 헤~ 위 휘 라/ 육조판서 뻗은 가지 팔도 감사 꽃이로다/ 오~ 호~ 헤~ 위 휘라
2. 「모찌기 노래」
오이 어허 몬들 모무세/ 이 논배미 모를 뽑아 저 논에다 심어보세/ 오이 어허 몬들 모무세/ 어서어서 모를 찌어 다른 바닥에 시집보내/ 오이 어허 몬들 모무세/ 휘딱휘딱[빨리빨리] 뽑아내어 살금살금 심어보세/ 오이 어허 몬들 모무세/ 뿌리는 흙이 안 묻고 모 타래 안 풀어지게/ 오이 어허 몬들 모무세/ 우리 농사가 잘되어야 선영 봉양을 잘 하고/ 오이 어허 몬들 모무세/ 여름 한철 고생해야 동지 섣달 생일 새네
3. 「모심기 노래」
어허~ 어허 상사듸야/ 어허여허 여허루 상사듸여/ 서마지기 논배미가 반달만큼 남었네/ 어허여허 여허루 상사듸여/ 니가 무슨 반달이냐 초생달이 반달이세/ 어허여허 여허루 상사듸여/ 일자로 늘어서서 입구자로 심어주소/ 어허여허 여허루 상사듸여/ 이 농사를 지으면은 선영봉친을 한다네/ 어허여허 여허루 상사듸여
4. 「매기 노래」
어야디야 에헤헤헤야 에헤야 디어라 사나이로구나/ 노다 가세 노다 가세 저 달이 떴다 지도록 노다 가세/ 어야디야 에헤헤헤야 에헤야 디어라 사나이로구나/ 디어 서산엔 해 떨어지고 월출 동녘에 달 솟아오네/ 어야디야 에헤헤헤야 에헤야 디어라 사나이로구나/ 아서라 마서라 그리들 마소 사람의 갈 길을 그리나 많다/ 어야디야 에헤헤헤야 에헤야 디어라 사나이로구나/ 십오야 밝은 구름 속에 놀고 우리 안식구는 내 품안에 노네/ 어야디야 에헤헤헤야 에헤야 디어라 사나이로구나/ 니가 잘나서 일색이냐 개 눈이 어두어 환장이로구나/ 어야디야 에헤헤헤야 에헤야 디어라 사나이로구나/ 여보시오 농부님네 이 내말을 들어보소/ 어야디야 에헤헤헤야 에헤야 디어라 사나이로구나/ 하나님이 비 주시니 올 농사도 대풍일세/ 어야디야 에헤헤헤야 에헤야 디어라 사나이로구나/ 무등산만 명산이던가 월출산도 명산이로세/ 어야디야 에헤헤헤야 에헤야 디어라 사나이로구나/ 불과 같이 더운 날에 메골같은 지심을 매세/ 어야디야 에헤헤헤야 에헤야 디어라 사나이로구나/ 널쳐 잡고서 들이지 말아 잘도나 맨다/ 어야디야 에헤헤헤야 에헤야 디어라 사나이로구나/ 다 되어가네 다 되어가네 이 논 글수(끝) 다 되야가네/ 어야디야 에헤헤헤야 에헤야 디어라 사나이로구나
5. 풍작 노래
어얼사 어얼사 아롱 저롱/ 농군은 흥에 겨워 춤을 추네/ 어얼사 어얼사 아롱 저롱/ 머슴은 가레 매고 장원하여 황소 타고/ 어얼사 어얼사 아롱 저롱/ 어사화는 앞 뒤로 너울너울 춤울 추네/ 어얼사 어얼사 아롱 저롱/ 금년에도 풍년 들어 우리 농사 장원일세/ 어얼사 어얼사 아롱 저롱[『화순의 민요』, 1984년, 능주면 석고리, 조신원]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만드리를 끝낸 후에는 그 해 농사가 가장 잘 된 집 상일꾼을 소에 태워 집으로 돌아왔다고 한다. 능주 지역에서는 논매는 소리는 해방 이후로는 거의 하지 않았고, 모심는 소리는 1970년대까지 전승되었다고 한다.
[현황]
「능주 들노래」는 들판에서 사라진지는 이미 오래 전이지만 주민들 중에는 아직도 노래를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2009년 화순 풍류 문화 큰잔치에 능주 들노래팀이 참가하여 풍류상을 수상하였다. 젊은 사람들도 참여하여 옛 노래를 배움으로써 전승의 계기를 마련했다.
[의의와 평가]
산이 많은 화순군의 지형적 특성과는 달리 능주면은 지석천을 끼고 있어 비옥하고 넓은 들녘을 보유하고 있다. 「능주 들노래」는 논매는 소리의 구성이 다채로우며 전라남도 동부 지역과 서부 지역 들노래의 음악적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