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701285
한자 密陽 小隱故宅
이칭/별칭 소은고택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퇴로2길 14[퇴로리 31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송혜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00년 초 - 밀양 소은고택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910년 - 밀양 소은고택 사랑채 증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2월 30일연표보기 - 밀양 소은고택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79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6월 29일 - 밀양 소은고택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재지 밀양 소은고택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퇴로2길 14[퇴로리 311]지도보기
원소재지 소은고택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퇴로2길 14[퇴로리 311]
성격 가옥
양식 팔작지붕
정면 칸수 5칸[안채]|6칸[사랑채]
측면 칸수 2칸[안채]|1칸[사랑채]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79호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퇴로리에 있는 조선 후기 가옥.

[개설]

밀양 소은고택(密陽小隱故宅)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퇴로리에 있으며 1800년 초에 건립되었다. 2021년 12월 30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위치]

밀양 소은고택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퇴로리 311번지에 있다. 퇴로리밀양시청에서 북서쪽으로 직선거리 6.6㎞ 떨어져 있다. 경상남도 진해시에서 김해시와 밀양시를 거쳐 청도군으로 이어지는 국도 제58호선 및 국도 제24호선을 통하여 부북면에 이르면 가산저수지 북쪽으로 돗대산[448.7m]을 등지고 있는 퇴로마을 내에 있다.

[변천]

밀양 소은고택은 사랑채 팔작지붕의 내림마루 망와에서 ‘밀양퇴로공장제조융희경술(密陽退老工場製造隆熙庚戌)’이라는 명문이 발견되어 1910년 지붕의 개와 공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밀양 소은고택은 함평이씨(咸平李氏) 가문으로 남양도호부사를 지낸 이승운(李乘運)[1765~1823]의 종택으로 조성되어 5대에 걸쳐 소유하였다. 1913년 손성훈에게 매도되었다가 1936년 여주이씨(驪州李氏) 가문의 이태형(李泰衡)이 손정근으로부터 매입하였다.

[형태]

밀양 소은고택은 원래 6동의 가옥이 조성되었으나 현재 4동만 남아 있으며 남서향의 대문채를 통하여 내부로 들어간다. 사랑 영역은 사랑채와 중문채로 이루어지며 중문채의 중문을 통하여 안채 영역에 들어갈 수 있다. 안채는 멸실된 행랑채와 함께 안마당을 이루고 있고 모든 행위의 중심 영역이었다. 안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자형’이며 건물 오른쪽에 부엌이 있고, 왼쪽에 툇마루를 둔 아주 보기 드문 평면 구조이다. 사랑채는 정면 6칸, 측면 1칸의 홑처마 팔작집이며 남북 방향으로 길게 뻗어 서향하고 있다. 19세기 밀양 지역 양반 가옥의 생활 공간과 평면 특성을 엿볼 수 있다.

[현황]

밀양 소은고택은 조선 후기 양반 가문의 종택으로 조성되어 유지·관리되다가 일제강점기 가옥 매도를 통하여 다른 가문으로 이전되어 잘 보존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밀양 소은고택은 남부 지역 부농 주택의 배치 특성을 보이며, 치목이 튼실하고 결구가 치밀한 여주이씨 문중의 근대 한옥으로 보존 가치가 있다. 또한 한옥 밀집 마을인 퇴로리의 중앙에 있어 역사적 경관을 구성하고 있다.

[참고문헌]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고시」(경상남도 고시 제2021-712호, 2021. 12. 30.)
  • 경남관광 길잡이(https://tour.gyeongnam.go.kr)
  •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 밀양시청(https://www.miryang.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