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600200
한자 南原驛
영어음역 Namwonyeok
영어의미역 Namwon Stati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전라북도 남원시 신정동 531[교룡로 7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한병옥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공 시설
면적 48,840㎡
주소 전라북도 남원시 신정동 531[교룡로 71]지도보기
전화 1544-7788|1588-7788

[정의]

전라북도 남원시 신정동에 있는 전라선 철도역.

[개설]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에 있던 구 남원역사는 부지가 4만 여 평이었고, 보선소가 설치되어 있었다. 과거에는 철도역이 없는 순창, 장수 지역은 물론이고 경상도 함양이나 거창에서도 남원역을 이용했던 탓에 남원역은 남원 지역과 인근의 경제 발달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도로 교통망이 발달하게 되고, 접근성이 떨어지는 전라북도 남원시 신정동으로 남원역사를 이전하면서 철도 이용객과 화물 수송량은 크게 떨어졌다.

남원역사가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에서 전라북도 남원시 신성동으로 옮기게 된 이유 가운데 특기할 만한 것은 철도가 시가지를 동서로 가로막아 남원 시가지 발전에 큰 장애가 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역 부지 안에 남원성 북문이 있었고 정유년 남원성전투 때 대부분의 남원 성민이 이 북문 앞에서 순절하였는데 일제가 그 보복으로 북문을 없애고 역을 만들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남원 시민 대부분이 강력하게 이전을 요구하여 관철되었다는 사실이다.

[건립경위]

전라선은 익산에서 출발해 만경강 유역의 호남평야 지역을 동서로 가로질러 전주를 지나 임실, 남원, 곡성, 구례 등 동부 산간 지방의 산업을 개발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남원역은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건설된 역사 가운데 하나이다.

[변천]

일제강점기였던 1914년 2월에 전라선 공사가 착공되었다. 그해 11월에 전주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었고, 1929년 4월에 전주에서 남원까지 공사를 시작해 1931년 10월 15일에 개통되었다. 1932년 10월에 남원에서 순천까지 공사를 착공하였고, 남원역은 1933년 10월 15일부터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1936년 12월에 여수까지 전라선이 개통되었다. 건립 당시 전라선은 단선이었고, 전주역에서 남원역까지의 거리가 61.1㎞였다. 1950년 10월 15일에 미군의 폭격으로 남원역사는 소실되었고, 1956년 7월 27일에 새 역사를 준공하였다. 1986년 12월 8일에 새 건물을 신축하였는데 그 건물이 남원시 동충동 197-1번지[충정로 65]에 있던 구 남원역사이다.

남원역에는 보선소가 설치되어 있었으며 남원역은 신리역에서 구례 구역까지의 18개 역을 관장하였고, 임실역, 오수역, 곡성역, 구례 구역에 분소를 두어 운영하였다.전라선 복선 전철화 사업이 시작되면서 대부분의 역들이 옮겨지거나 개축되었다. 남원역도 2004년 8월 5일에 남원시 신정동 531번지[교룡로 71]로 이전, 개통하였다.

현재 남원 보선소는 폐쇄되었고 대신 익산사업소의 분소가 되어 남원역금지역까지를 담당하고 있다. 전라선 복선 전철화 사업으로 남원~전주 간은 61.1㎞에서 53.8㎞로, 남원~순천 간은 71.7㎞에서 65.9㎞로 총 13.1㎞가 단축되었다.

[구성]

남원역은 면적이 1만 4,800여 평이다. 2004년 건립된 남원역은 넓은 역사 앞 광장, 주차 시설, 화장실 등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 청동으로 된 지붕 마감재도 눈에 띈다.

[현황]

남원시의 외곽에 자리 잡고 있어 이용 승객의 수가 줄어든 편이다. 남원역에서 남원시내와 관광단지로 접근하는 데에도 시간이 걸린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