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0473
한자 金尙容先生墓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능묘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산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윤혜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 시기/일시 1637년연표보기 - 김상용선생묘 조성
문화재 지정 일시 1987년 2월 12일연표보기 - 김상용선생묘 경기도 기념물 제99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김상용선생묘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경기도 기념물 지정 번호 삭제
현 소재지 김상용선생묘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산6 지도보기
성격
관련 인물 김상용
봉분 크기/묘역 면적 450㎡[면적]|150㎝[봉분 높이]|550㎝[봉분 지름]|359㎝[비석 총 높이]|89㎝[비석 너비]|22㎝[비석 두께]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김상용의 묘.

[개설]

김상용선생묘(金尙容先生墓)김상용(金尙容)[1561~1637]과 부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의 합장묘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에 있다. 김상용선생묘는 1987년 2월 12일 경기도 기념물 제9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위치]

김상용선생묘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산6번지 안동 김씨(安東 金氏) 묘역에 있다. 묘역 입구로부터 약 50m 떨어진 지점에는 대리석으로 만든 신도비가 있다.

[변천]

김상용은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왕족을 수행하여 강화도로 피난하였다가 1637년 성이 함락되자 남문루(南門樓)에 있던 화약에 불을 지르고 순절(殉節)하여 덕소리에 예장(禮葬)되었다. 1647년(인조 25) 건립된 신도비는 김상용의 동생인 김상복(金尙宓)[1573~1652]이 홍성부사(洪城府使) 재직 시절에 제작하여 보낸 것이다. 비문은 김상용의 아우인 김상헌(金尙憲)[1570~1652]이 찬(撰)하였고 유시정(柳時定)[1596~1658]이 글씨를 썼으며 김광현(金光炫)[1584~1647]이 전액(篆額)을 썼다.

[형태]

김상용선생묘 묘역의 면적은 450㎡이다. 봉분은 단분(單墳)이며, 높이 150㎝, 지름 550㎝이다. 봉분 앞에는 묘비(墓碑)를 비롯하여 상석(床石)과 향로석(香爐石)이 있으며, 상석 앞에는 망주석(望柱石)과 문인석(文人石)이 좌우로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신도비는 이수(螭首)·비신(碑身)·기대(基臺)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높이 359㎝, 너비 89㎝, 두께 22㎝이다.

[금석문]

김상용선생묘 묘비에 ‘충신의정부우의정김공상용지묘 정경부인안동권씨부좌(忠臣議政府右議政金公尙容之墓 貞敬婦人安東權氏祔左)’라고 음각되어 있다. 신도비문은 전후 상단 양면에 걸쳐 전서(篆書)로 ‘충신의정부우의정선원선생김공신도비명(忠臣議政府右議政仙源先生金公神道碑銘)’이라 횡서하였다. 비제(碑題)는 ‘유명조선국충신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우의정겸경연사감춘추관사선원선생김공신도비명병서(有明朝鮮國忠臣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右議政兼經筵事監春秋館事仙源先生金公神道碑銘幷序)’이다.

[의의와 평가]

김상용선생묘는 17세기 전반 묘역의 양식을 살필 수 있으며, 특히 신도비의 조각 표현은 당대 최고 장인의 솜씨로 매우 뛰어나다고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