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300851
한자 鄭曄
이칭/별칭 시회(時晦),수몽(守夢),설촌(雪村),문숙(文肅)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기도 양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창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63년연표보기 - 정엽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83년연표보기 - 별시문과 병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87년연표보기 - 감찰, 형조 좌랑
활동 시기/일시 1593년연표보기 - 황주 판관, 중화 부사
활동 시기/일시 1597년연표보기 - 예조 정랑, 수원 부사
활동 시기/일시 1598년연표보기 - 형조 참의, 예조 참의
활동 시기/일시 1602년연표보기 - 종성 부사
활동 시기/일시 1604년연표보기 - 동래로 유배
활동 시기/일시 1605년연표보기 - 해배
활동 시기/일시 1609년연표보기 - 대사성
활동 시기/일시 1610년연표보기 - 충청 감사
활동 시기/일시 1613년연표보기 - 도승지
활동 시기/일시 1617년연표보기 - 양양 부사
활동 시기/일시 1618년연표보기 - 사임, 여주로 낙향
활동 시기/일시 1623년연표보기 - 지돈령부사
활동 시기/일시 1624년연표보기 - 대사헌, 좌참찬
몰년 시기/일시 1625년연표보기 - 정엽 사망
추모 시기/일시 1625년연표보기 - 우의정에 추증되고 시호를 받음
추모 시기/일시 1637년연표보기 - 신도비 건립
추모 시기/일시 1661년연표보기 - 기천서원에 배향됨
추모 시기/일시 1667년연표보기 - 구암서원에 배향됨
유배|이배지 종성 - 함경북도 종성군
유배|이배지 동래 - 부산광역시
묘소|단소 정엽 묘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로 376[일영리 산31-1]지도보기
사당|배향지 기천서원 - 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금사로 3[이포리 산26-1]
사당|배향지 구암서원 - 서울특별시 강동구 아리수로25나길[암사동]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초계
대표 관직 대사간

[정의]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가계]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시회(時晦), 호는 수몽(守夢)·설촌(雪村). 아버지는 진사 정유성(鄭惟誠)이고, 어머니는 파평 윤씨(坡平尹氏)로 증찬성 윤언태(尹彦台)의 딸이다. 부인은 한산 이씨(韓山李氏)로 영의정 한흥부원군(韓興府院君) 이산보(李山甫)의 딸이다. 딸은 병조 참지(兵曹參知) 나만갑(羅萬甲)에게 출가하였다.

[활동 사항]

정엽(鄭曄)[1563~1625]은 세 살 때 글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네 살 때 시를 지어 이이(李珥)정유길(鄭惟吉)로부터 신동이라는 평을 들었다. 이지함(李之菡)의 주선으로 송익필(宋翼弼)에게서 배우고, 성혼(成渾), 이이의 문하에 출입하면서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하였다.

1583년(선조 16) 별시문과에 병과 12위로 급제, 승문원에 등용되었고 이후 홍문관 문한을 지냈다. 1587년(선조 20) 감찰, 형조좌랑에 이어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선조 25) 황주목 판관이 되었다. 이듬해 왜군을 격퇴한 공으로 중화 부사가 되었다. 1594년(선조 27) 홍문관 수찬, 군자감 첨정, 서천 군수를 역임하였으며 1597년(선조 30) 예조 정랑이 되었다. 그해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급고사(急告使)로 명나라에 파견되어 원군을 요청하고 왔다.

귀국 후 수원 부사로 나가 난으로 큰 피해를 입은 수원 백성을 잘 다스려 서천 군수 때와 마찬가지로 크게 칭송을 받았다. 1598년(선조 31) 성균관 직강, 선공감 정, 홍문관 부응교, 집의, 동부승지, 첨지중추부사가 되었다. 1599년 형조 참의로 있을 때 동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귀국 후 나주 목사를 거쳐 1600년(선조 33) 병조 참지, 사간원 대사간을 지냈다.

1601년(선조 34) 형조 참의, 승정원 좌부승지, 예조 참의, 참찬관을 역임하였고, 이 무렵 이조좌랑으로 천거된 척속(戚屬)[성이 다른 일가] 기자헌(奇自獻)의 임관을 극력 반대하였다. 1602년(선조 35) 정인홍(鄭仁弘)이 권력을 잡아 성혼을 배척함에 따라 그의 문하생이었던 정엽도 종성 부사로 좌천되었다. 정엽은 귀양지인 함경도 종성에서 교육을 크게 일으켰고, 오랑캐 수만 명이 침입해 왔을 때 지혜로써 물리치니 포로로 잡힌 백성이 단 한 명에 그쳤다. 그런데도 기자헌의 농간으로 동래에 유배되었다. 1605년에 풀려나 이듬해 성주와 홍주를 다스렸다.

1608년(광해군 즉위년) 예조 참의, 다음해 대사성, 1610년(광해군 2) 충청 감사가 되었고 이어서 예조 참의, 좌부승지, 대사간, 도승지를 역임하였다. 도승지로 있을 때 광해군(光海君)이 경연을 소홀히 하는 것을 지적하였다가 호조 참의로 강등되었다가 곧 호조 참판으로 복귀하였고, 1613년(광해군 5) 도승지가 되었다. 같은 해 광해군영창대군(永昌大君)과 그 추종 세력을 제거한 계축옥사(癸丑獄事)가 일어나자 사실을 밝히고자 하였으나 어머니가 만류하여 포기하고 벼슬을 내놓았다.

1614년(광해군 6) 공조 참판에 제수되었고, 1617년(광해군 9) 영창대군의 어머니인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쫓아내려는 폐모론이 일자 외직을 구하여 양양 부사로 나갔다. 이듬해에 인목대비가 폐서인(廢庶人)된 후 관직을 내놓고 여주로 낙향하였다.

1623년(광해군 15) 인조반정이 일어나고 며칠 후 정엽은 조정에 나아가 “강화도에 위리안치(圍籬安置)[집에 가시울타리를 치고 죄인을 가둠]된 광해군은 전 군주이므로 곡송(哭送)[곡을 하면서 전송함]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오해를 사기도 하였다. 1623년(인조 1) 지돈녕부사, 비변사의 합사로 대사성, 동지경연(同知經筵), 원자사부(元子師傅)를 겸하여 성균관을 크게 일으켰다.

인조반정 이후 명나라를 섬기고, 새로 일어난 후금을 배척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적이 쳐들어올 경우 임금이 몸소 삼군을 이끌고 송도[개성]로 진주한다는 전략을 마련하였다. 이런 큰 계획이 모두 정엽의 건의로 이루어졌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 때는 임금에게 공주로 피난할 것을 권유하여 함께 따라갔다.

정엽은 공주에 있을 때 자헌대부(資憲大夫)로 승진하였고, 한양으로 돌아와 정헌대부(正憲大夫)로 대사헌에 제수되고, 이어서 좌참찬이 되었다. 정엽은 대사헌을 다섯 번 겸하고, 한꺼번에 네 가지 관직을 맡는 등 격무에 시달린 끝에 병을 얻어 1625년 63세에 세상을 떴다. 벼슬을 수차례 옮겼으나 그때마다 대사성도 겸하여 대사성을 겸직하는 선례를 만들었다.

[학문과 저술]

저서로 『수몽집(守夢集)』과 『근사록석의(近思錄釋疑)』가 있다. 『근사록석의』는 『근사록(近思錄)』의 해설서로 목판본 14권 4책이다. 김장생(金長生)이 시작한 주석 작업을 정엽이 이어받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사위 나만갑이 정서하여 세상에 내놓았다. 후에 송시열(宋時烈)이 본문과 주석을 나누고 내용을 고증하여 1661년(현종 2)에 간행하였다. 『근사록』은 중국 송나라의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이 학문의 중심이 되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내용을 추려서 편집한 신유학(新儒學)의 중심 문헌으로, 조선에서는 사림파에 의해 연구, 보급되었다.

[묘소]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 초계 정씨 묘역에 묘와 신도비가 있다. 묘역 입구에 자리한 신도비는 1637년(인조 15)에 세워졌다. 옥개형의 2면 비로, 옥개석의 크기는 너비 140㎝, 높이 50㎝, 두께 65㎝이고, 비신은 너비 94㎝, 높이 236㎝, 두께 31㎝이다. 비좌는 148㎝, 40㎝, 88㎝이다. 비문은 좌의정 이정구(李廷龜)가 짓고, 동양위(東陽尉) 신익성(申翊聖)이 썼으며, 호조 참판 김광현(金光炫)이 전(篆)하였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문숙(文肅)이며, 우의정에 추증되었다. 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이포리 산26-1번지에 있는 기천서원(沂川書院)과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 굴바위마을 구암서원(龜巖書院)에 배향되었다. 구암서원은 1871년 서원 철폐령 때 헐려 위패를 묻고, 현재 그 자리에는 조두비(俎豆碑)만 남아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