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300789
한자 朴彛叙
이칭/별칭 문서(文叙),석오(錫吾),비천(泌川),동고(東皐),충간(忠簡)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기도 양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권만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61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88년연표보기 - 알성문과 병과 급제, 성균관 학유, 군자감 참봉, 승문원 주서 겸 사관
활동 시기/일시 1592년연표보기 - 병조 좌랑, 순찰종사관
활동 시기/일시 1596년연표보기 - 해서독운어사
활동 시기/일시 1599년연표보기 - 탄핵 당함
활동 시기/일시 1607년연표보기 - 복직, 장악원 첨정, 부응교
활동 시기/일시 1609년연표보기 - 우부승지, 호조 참의,부제학
활동 시기/일시 1610년연표보기 - 형조 참의, 이조 참의, 충청도 관찰사
활동 시기/일시 1611년연표보기 - 대사간, 병조 참지, 첨지충추부사, 담양 부사, 이조 참판, 동지성균관사, 도총부 부총관
활동 시기/일시 1613년연표보기 - 대북파를 탄핵함
활동 시기/일시 1615년연표보기 - 탄핵 당해 삭직됨
활동 시기/일시 1620년연표보기 - 진위사
몰년 시기/일시 1621년 5월 10일연표보기 - 사망
추모 시기/일시 1641년연표보기 - 신도비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569년 - 아버지 사망
거주|이주지 여주 - 경기도 여주시
묘소|단소 경기도 양주시 평화로[회정동]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밀양
대표 관직 도총부 부총관

[정의]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가계]

본관은 밀양(密陽). 초명은 문서(文叙), 자는 석오(錫吾), 호는 비천(泌川)·동고(東皐). 고조할아버지는 부사직을 역임한 박시림(朴時霖), 증조할아버지는 장사랑으로 통례원 좌통례에 증직된 박환(朴渙), 할아버지는 활인서 별제를 지냈고 승정원 좌승지에 증직된 박덕로(朴德老)이며, 아버지는 사헌부 장령을 지냈고 이조 참판으로 증직된 박률(朴栗)이다. 어머니는 정부인 이씨로 종실 영양수(永陽守) 이춘복(李春福)의 딸이다.

부인은 광주 이씨(廣州李氏)로 군사 이사률(李士栗)의 딸이다. 슬하에 2남 2녀를 두었다. 장남은 관찰군 박로(朴 竹+魯), 차남은 박진(朴 竹+晉)이다. 사위는 관찰사 윤지경(尹知敬), 생원 송길룡(宋吉龍)이다. 측실에서 4남 2녀를 낳았는데 아들은 박전(朴筌), 박범(朴範), 박규(朴 竹+規), 박잠(朴箴)이고, 사위는 훈도 이한룡(李翰龍), 생원 심유(沈紐)이다.

[활동 사항]

박이서(朴彛叙)[1561~1621]는 1588년(선조 21)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성균관 학유, 군자감참봉을 거쳐 승문원 주서가 되어 사관을 겸하였다. 1592년(선조 25) 병조좌랑 당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분조(分朝)에 임금을 모시고 따라가 순찰사 종사관으로 황해도 지방의 군량을 담당하였다. 뒤 이어 사간원 정언, 예조좌랑을 지냈다.

1596년(선조 29) 왜가 거짓으로 강화를 청하여 조정에서 간사(間使)[교섭을 담당하는 사신]를 보내기로 의견을 모았다. 하지만 박이서는 원수와 화의해서는 안 된다며 반대하고 해서독운어사(海西督運御史)로 나갔다. 4만 명이 넘는 명나라 원군이 왔을 때, 박이서는 군량을 모아 배로 운반하는 일을 맡아 성공적으로 해냈다. 정유재란이 끝난 후 홍문관 교리가 되었다.

1599년(선조 32) 광해군 편을 드는 이이첨(李爾瞻), 홍여순(洪汝諄) 등의 세력이 커지자 이를 누르기 위해 탄핵하였다가 오히려 남이공(南以恭), 김신국(金藎國) 등과 붕당을 만든다며 탄핵당해 관직을 빼앗기고 여주에서 8년간 은둔하였다.

1607년(선조 40) 임금의 대사면령으로 복권되어 장악원 첨정이 되었고, 체찰부 종사관으로 황해도를 순찰하였으며 부응교를 지냈다. 1609년(광해군 1) 우부승지, 호조 참의, 부제학에 이어 이듬해 형조 참의·이조 참의, 충청도 관찰사를 역임하였다. 1611년(광해군 3) 대사간, 병조 참지, 첨지충추부사, 담양부사, 이조 참판, 동지성균관사, 도총부 부총관 등을 지냈다.

1613년(광해군 5)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어머니인 인목왕후(仁穆王后)를 쫓아내야 한다는 폐모론(廢母論)이 일자 여러 차례 중심 세력인 대북파를 탄핵하였다. 1615년(광해군 7) “국법을 가벼이 여기고, 자신이 속한 소북파만 감싸며 다른 관료들의 의견을 무시한다”는 이유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삭직[벼슬과 품계를 빼앗고 벼슬아치의 명부에서 이름을 지우던 일]되었다. 후에 서반직으로 복귀, 영광 군수로 나갔으나 전라도 관찰사 이창준(李昌俊)의 탐정(貪政)에 실망하여 병을 핑계로 벼슬을 내놓았다.

1620년(광해군 12) 겨울 명나라 광종이 죽자 진위사가 되어 연경(燕京)에 파견되었다. 이듬해 5월 10일 귀국길에 바다에서 풍랑을 만나 목숨을 잃었다. 생전에 이덕형(李德泂)과 친하게 지냈다.

[묘소]

묘소는 경기도 양주시 회정동[평화로]에 있다. 축대를 쌓은 묘역 안에 호석(護石)을 둘러 부인과 쌍분으로 조성하였다. 봉분 앞에 묘갈을 세우고, 양쪽에 동자석과 망주석을 배치하였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1641년(인조 19)에 신도비가 세워졌다. 양주시 회정동[평화로 1597번길] 박씨 일가의 묘역 맨 위쪽에 자리한 신도비는 비좌에 월두형(月頭形) 비신이 놓여 있다. 이조참판 겸 홍문관 대제학 이식(李植)이 글을 짓고, 금양군(錦陽君) 박이(朴儞)가 글씨와 전액을 썼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3.08 한자음 수정 자(字) 한자 수정 서오(叙吾)->석오(錫吾) 호(號) 수정 필천(泌川)->호는 비천(泌川) 이름의 한자음 수정 박율(朴栗)->박률(朴栗) 이사율(李士栗)->이사률(李士栗) 박노(朴 竹+魯)->박로(朴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