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400189
한자 梁山虎溪里磨崖如來坐像
영어의미역 Relief of Buddha in Hogye-ri, Yangsan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불상
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호계동 산55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한정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9년 5월 2일연표보기 - 양산 호계리 마애여래좌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96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양산 호계리 마애여래좌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성격 마애불
제작시기/일시 조선 중기
제작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재질 화강암
높이 220㎝
소장처 주소 경상남도 양산시 호계동 산55 지도보기
소유자 김만석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호계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마애불.

[형태]

양산 호계동 마애여래좌상은 커다란 연화 대좌(臺座) 위에 결가부좌한 모습으로 얼굴은 양각, 신체는 선각으로 표현하였다. 머리는 나발이며 육계는 머리에 비해 작고, 얼굴은 방형에 가까운데, 눈, 코, 입의 표현을 보면 상호가 투박하고 토속적인 인상을 풍긴다.

신체의 오른쪽 부분은 마모가 심하여 오른손의 수인은 확인할 수 없으나 가슴 부분에 있으며, 왼손은 오른쪽 발바닥 위로 떨어지는 촉지인을 취하고 있다. 형식화된 통견의(通絹衣)를 착의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성글고 투박한 조각 기법에 비해 내의의 표현과 군의의 띠를 비교적 상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광배는 원형의 거신광으로 광배 내부에 장식은 보이지 않는다. 불신에 비해 넓게 새겨진 대좌는 여러 겹의 앙련좌로 표현되었다.

[특징]

양산 호계동 마애여래좌상은 얼굴과 신체의 표현에서 조각적인 측면과 회화적인 특징을 모두 보여주고 있다. 마애불에서는 보기 드문 나발의 머리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불상의 전반적인 표현이 형식화되고 투박한 토속적 조각 수법을 보이고 있어 조선 중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약 200여 점의 마애불이 조성되었는데, 그중 조선시대의 마애불은 약 10여 점으로 그리 많이 남아 있지 않다. 이러한 현재의 상황에서 조선 중기 작품으로 추정되는 양산 호계동 마애여래좌상은 다른 시대의 마애불에 비해 예술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삼국시대 이후 지속되어 온 마애불의 전통을 계승한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양산 호계동 마애불 아래에 있는 석굴은 원효대사가 수행했던 ‘반고굴(磻高窟)’이라는 전언이 있어 석굴 사원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1979년 5월 2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9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