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401215 |
---|---|
한자 | 權訪 |
영어음역 | Gwon Bang |
이칭/별칭 | 계주(季周),학림(鶴林)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강민석 |
[정의]
조선 후기 안동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가계]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계주(季周), 호는 학림(鶴林). 아버지는 권도(權濤), 어머니는 의인(宜人) 예안김씨(禮安金氏)로 김원열(金元烈)의 딸이다.
[활동사항]
권방[1740~1808]은 12세 무렵에 「토서설(土鼠說)」, 「제익수인문(祭溺水人文)」을 지어 총명함과 글재주를 뽐내어 주위의 사랑과 기대를 받았다.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63년(영조 39)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1767년 봄 석채헌관(釋菜獻官)이 되었을 때 시기하는 자들로부터 무고를 받아 하동(河東)으로 유배를 갔다가 이듬해에 풀려났다.
1783년(정조 7) 문과에 급제하여 승정원부정자를 거쳐 이듬해 소령원수(昭寧園守)에 제수되었다. 이 무렵 이완(李琓), 류범휴(柳範休)와 함께 성균관에서 수학하며 『논어(論語)』, 『중용(中庸)』을 강론하고 「문답록(問答錄)」을 남겼다. 이후 종부시주부, 창릉령(昌陵令), 사헌부감찰을 거쳐 병조좌랑에 제수되었으나 사퇴하였다.
[학문과 사상]
은퇴 이후 만년에 기거했던 학가산(鶴駕山) 일대는 권방의 심성 수양을 위한 도장이 되었다. 이것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도산(陶山)의 산수를 사모하며 인격 연마와 학문 수양에 전념했던 점을 본보기 삼아, 자연을 사랑하고 이황을 존모하며 학문과 덕행 수양에 전념하려 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저술 및 작품]
문인 권규도(權奎度)가 권방의 유문(遺文)을 수집하여 11권 6책의 『학림집(鶴林集)』을 간행하였으며 훗날 문집 간행 당시 시속(時俗)에 저촉되어 빠졌던 것을 속집(續集) 2권으로 간행하였다. 『학림집』은 영남 지방 사대부 문집들 중에서도 특히나 연작시가 많이 수록되어 있는 문집이다. 이들 연작시는 자연풍경의 묘사와 풍류 흥취의 낭만적 정서를 그 특징으로 한다. 기타로 이황에 대한 존경,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에 대한 논의, 천리유행(天理流行)에 대한 깨달음 등을 담은 시들도 있다.
[묘소]
묘소는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학가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