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00305
한자 大阜面
영어의미역 Daebu-myeo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지명/고지명
지역 경기도 안산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김윤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연도/일시 1909년연표보기
시행연도/일시 1909년연표보기
폐지연도/일시 1994년연표보기

[정의]

1909년부터 1994년까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에 설치된 행정구역.

[개설]

대부도(大阜島)는 홀곶 패총과 말부흥 패총 등에서 발굴·채집한 줄무늬토기를 토대로 사람이 살기 시작한 연대를 신석기시대 중기로 추정하고 있다. 어로와 더불어 사냥 및 농경 등으로 식량을 획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에 들어와서는 한강 유역과 남양만 방면에서 황해를 건너 중국으로 통하는 해상로를 장악하기 위해 삼국 상호간 치열한 쟁탈전이 벌어져 대부도의 소속이 백제, 고구려, 신라 등 여러 차례 바뀌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대부도라는 지명이 문헌에 나타나기 시작한 때는 고려시대인데, 오늘날과 한자 표기가 달랐다. 즉 큰대(大) 자는 같으나, 부 자는 ‘부(部)’ 또는 ‘부(府)’를 써서 ‘대부도(大部島)’·‘대부도(大府島)’ 등으로 표기하였다. 대부도가 주위에 있는 다른 섬보다 크고 중요한 위치에 있다 하여 사또가 머무는 중앙 지역이라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다. ‘대부도(大府島)’라는 표기는 고려시대에 사용되었고 ‘대부도(大部島)’는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계속 사용되었는데, 1487년(성종 18)부터 ‘대부도(大部島)’를 ‘대부도(大阜島)’로 사용하기 시작하여 조선 말기에 와서는 ‘대부도(大阜島)’만 사용하였다.

[변천]

신라가 남양만 지역을 처음 장악한 553년(진흥왕 14)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 신라는 당성군(唐城郡)이라는 고구려 때의 지명을 계속 사용하여 오다가, 757년(경덕왕 16) 당은군(唐恩郡)으로 고친 것을 제외하고는 통일신라 말기까지 변화가 없었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도 대부도 지역은 계속하여 당은군이었다. 이후 지명과 관할처가 여러 차례 변하다가, 1308년(충렬왕 34) 익주목(益州牧)으로 승격되었다.

1310년(충선왕 2) 전국의 목이 폐지되면서 남양도호부(南陽都護府)에 속하였다. 이때 남양도호부에는 대부도를 비롯하여 영흥도, 덕적도, 자월면 지역도 포함되어 있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경기도 남양도호부 소속이었으며, 1894년 대부진이 폐지되고 1909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남양군 대부면이 설치되었다. 1914년 부·군 통폐합 조치로 남양군에서 부천군으로 관할이 바뀌었고, 1973년 7월 1일 부천군에서 옹진군으로 편입되었다가, 1994년 12월 26일 다시 안산시 대부동으로 행정구역이 변경되면서 대부면이라는 명칭은 사라지게 되었다.

[현황]

대부도황금산을 주축으로 61㎞의 넓은 해안선과 6개 유인도 및 13개 무인도로 형성된 도서 지역이었으나, 1994년 1월 24일 시흥시 정왕동과 방아머리 12.7㎞의 방조제 물막이 공사가 마무리되면서 육지와 연결되었다. 1994년 12월 26일 주민투표를 실시하여 옹진군 대부면에서 안산시 대부동으로 행정구역이 조정되었다. 2002년 구제 실시에 따라 단원구에 속하게 되었다. 특히 대부도에서 재배되는 대부포도는 경기도는 물론 전국에서 유명한 농산물로 해마다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으며, 포도 수확기에는 온 고장이 달콤한 포도 향기에 젖어 지나는 관광객들의 발길을 늦추게 한다.

북쪽으로는 인천광역시 연수구와 경기도 시흥시, 동쪽으로는 경기도 화성시, 남쪽으로는 충청남도 당진군과 이웃하고 있다. 대부본도 외에 풍도육도의 2개 유인도, 13개 무인도가 포함되어 있는 지역으로, 최근에는 주요 간선도로 건설 및 육지와 연결되어 교통이 편리해져 관광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1909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남양군에 소속되면서 대부면이라는 명칭이 처음 사용되었으며, 1994년 12월 26일 옹진군 대부면에서 안산시 대부동으로 행정구역이 변경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