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501482 |
---|---|
한자 | 秋夕 |
영어음역 | Chuseok |
영어의미역 | Harvest Full Moon Festival |
이칭/별칭 | 한가위,중추절,가배,가위,월석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경기도 안산시 |
집필자 | 김지욱 |
[정의]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민속 명절.
[개설]
추석은 중추절(仲秋節)이라고 하여 가을의 한가운데 달이며, 또한 팔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명절이다. 가배(嘉俳)·가위·한가위·월석(月夕)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 이래 주요 명절 중 하나였으며 오늘날에는 설날 다음으로 강하게 전승되고 있다. 추석은 한해 농사를 끝내고 오곡을 수확하는 일 년 중 가장 풍성한 시기로, 풍년 농사에 감사하며 거두어들인 햇곡식과 과일을 조상께 올리고 이웃과 음식을 나누는 날이다. 현재 안산 지역의 경우 도시화와 신시가지의 형성 등 핵가족화로 인해 추석 관련 놀이문화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연원 및 변천]
추석의 유래는 정확하지 않으나 고대 사회의 풍농제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이며, 일종의 추수감사절에 해당한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신라 유리왕(儒理王) 때 6부(六部)의 여자들을 두 편으로 나누어 두 왕녀가 이 여자들을 거느리고 7월 기망부터 매일 뜰에 모여 밤이 늦도록 베를 짜게 했다. 그리고 8월 보름이 되면 그동안의 성적을 가려 진편에서 술과 음식을 장만하여 이긴 편에게 대접했다고 한다. 이때 「회소곡(會蘇曲)」이라는 노래와 춤을 추며 놀았는데, 이를 ‘가배’라고 불렀다.
이 가배가 오늘날 ‘한가위’의 ‘가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 뜻은 가운데[中] 또는 반(半)의 어근인 ‘갑’에 명사형 접미사 ‘이’가 붙어서 가을의 반, 즉 중추(仲秋)의 한국식 표기가 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려시대에도 추석 명절을 지냈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국가적으로 선대 왕에게 추석제(秋夕祭)를 지낸 기록이 있다. 1518년(중종 13)에는 설, 단오와 함께 3대 명절로 정해지기도 했다.
[절차]
추석날 아침에는 햅쌀로 만든 송편과 햇과일을 차려놓고 조상에게 송편 차례를 지낸다. 송편은 솔잎을 따서 솥에 깔고 쪘으며, 쪄낸 송편에 참기름을 발랐다. 또한 토란과 쇠고기를 넣고 탕국을 끓여 차례 상에 올렸다. 추석 차례 상은 설보다 과일이 많이 오른다. 신길동과 대부북동의 종현동에서는 추석 차례에 숭어를 올린다. 차례를 지낸 후 설과 마찬가지로 삼색 실과와 포·술을 가지고 성묘를 간다. 이 시기는 농사일에 바쁠 때이므로 설과는 달리 그다지 크게 놀지 않는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추석날 차례를 지낸 후 산소에 성묘를 갔으며, 백중에 벌초를 못한 가정에서는 이 날 벌초를 하기도 했다. 이웃집에서 송편을 가져오면 빈 그릇으로 돌려보내지 않고 똑같이 송편을 담아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