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567
한자 尹日善家屋
영어공식명칭 Yoonilseon Gaok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해위안길30번길 16[신항리 142-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선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44년연표보기 - 윤일선가옥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905년 - 윤일선가옥 개축
문화재 지정 일시 1986년 11월 19일연표보기 - 윤일선가옥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2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윤일선가옥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재지정
현 소재지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해위안길30번길 16[신항리 142-1]지도보기
성격 가옥
양식 팔작지붕[안채]
정면 칸수 4.5칸[안채]
측면 칸수 4칸[안채]
관리자 윤탁구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신항리 큰새말에 있는 조선 후기 윤일선의 주거 건축.

[개설]

윤일선가옥(尹日善家屋)해평윤씨 신항리 입향조인 윤취동(尹取東)[1798~1863]의 둘째 아들 윤영렬(尹英烈)[1854~1939]이 분가하면서 지은 집이라 전해진다. 이어 윤영렬의 장남 윤치오(尹致旿)[1869~1950]를 거쳐 장손 윤일선(尹日善)[1896~1987]으로 이어졌다. 1986년 11월 19일에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남도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위치]

윤일선가옥은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해위안길30번길 16[신항리 142-1]에 있다. 집안 공동의 솟을대문 안 첫 번째 가옥이다. 지형에 따라 서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변천]

윤일선가옥은 ‘숭정기원후사갑진십일월이십팔일(崇禎紀元後 四甲辰十一月二十八日)’이라는 상량문으로 볼 때 1844년에 건립되었음 알 수 있다. 종가댁으로 알려진 윤승구가옥 상량 며칠 뒤가 된다. 윤영렬이 분가할 때 지었다는 이야기와 시기가 어긋난다. 해평윤씨 일가 여러 가옥의 공동 대문으로 쓰이는 솟을대문에 쓰여 있는 ‘대한광무9년’의 기록은 윤일선의 부친이 1900년경에 지은 것이라고 전해지는 이야기와 대략 일치하지만, 윤영렬 분가 시기와 맞지 않는다. 전해지는 이야기와 근거 기록으로 볼 때 1844년 일부 건물을 짓고 후대에 다른 건물이 추가로 건립되었거나, 1844년에 안채와 사랑채 등을 지었고 후대에 전면적으로 중수했을 가능성도 있다. 그 세부 내력은 알 수 없다. 근래까지는 안채와 사랑채의 2동만 유지되어 왔고, 별채는 최근에 복원되었다. 문화재 지정 이후의 지속적인 정비와 보수, 기와 교체, 2016년의 대문채 및 담장의 해체·보수 등으로 면모가 전면적으로 새롭게 정비되었다.

[형태]

윤일선가옥은 기본적으로 ㄱ자형의 안채와 ㄴ자형의 사랑채가 튼 ㅁ자형의 배치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 동남쪽에 별채가 배치되어 있다. 안채는 정면 4.5칸, 측면 4칸의 ㄱ자형으로, 가운데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바라보며, 왼쪽에는 2칸의 안방과 그 앞의 날개에 넓은 2칸 부엌이 배치되었다. 부엌의 가운데 앞부터 1.5칸 길이의 툇마루가 대청으로 이어져 있다. 대청을 바라보며 오른쪽에 1.5칸의 건넌방이 있고, 건넌방 앞쪽에 대청보다 높은 툇마루를 두고 그 아래에 아궁이 함실을 설치하였다.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사랑채는 정면이 6.5칸으로 상당히 길고 측면이 3칸인 ㄴ자형 건물이다. 바깥쪽에 다듬은 장대석을 두 켜로 포개어 쌓아 만든 두벌대 기단 위에 세워졌다. 밖에서 보아 오른쪽 꺾어지는 부분에 대청마루를 설치하고 그 뒤의 날개에 2칸의 큰 사랑방을 배치하였다. 담장 안이 되는 바깥쪽 퇴칸에는 3칸 모두 마루를 두었다. 대청 왼쪽에 1칸의 작은 사랑방을 배치하였다. 사랑채 가운데는 2칸의 넓은 대문간을 두었고 그 옆으로 이어 1.5칸의 광과 반 칸의 측간을 배치하였다.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안채의 건넌방 바로 앞에 이어지듯 배치된 별채는 정면 5칸 규모에 양쪽에 날개를 둔 ㅡ자형으로, 가운데에 4칸 크기의 광을 두고 왼쪽에는 1칸 크기의 온돌방을 설치하고, 오른쪽에는 2칸 크기의 온돌방과 그 옆에 마루와 작은 온돌방을 차례로 두었다. 사랑채와 별채 사이에는 문을 둔 담장을 설치하여 공간을 구분하였고, 별채에는 바깥에서 직접 통행할 수 있는 일각문을 두었다.

해평윤씨 집안 공동의 출입문인 솟을대문은 윤일선가옥의 정문이다. 같은 필지의 땅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문간채는 정면 7칸, 측면 1칸으로 구성되어 있고, 오른쪽부터 광, 개방된 봉당, 솟을대문, 부엌, 온돌방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지붕은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문간채에서 동북 방향으로 둥글게 남아 있는 담장은 판축 토담 위에 기와지붕을 얹었다.

[현황]

윤일선가옥은 오랜 기간 쇠락한 상태로 유지되어 왔으며, 충청남도 아산시 등 관계 당국에 의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개수, 보수, 복원 등의 정비 과정을 통해 전통 가옥의 면모를 되찾고 있다.

[의의와 평가]

윤일선가옥은 배치 구조가 충청남도 지역의 일반적인 튼 ㅁ자형을 따르고 있으나, 인접한 윤승구가옥에 비해 건물 사이의 공간이 좁은 편이다. 별채의 평면 구조도 색다르다. 특히 사랑채의 바깥쪽에 마루나 툇마루가 없고, 창호도 판문을 달아 외부에 개방적이지 않은 점이 특별하다. 윤취동을 기준으로 하면 둘째[윤영렬]의 집이어서 삼가는 분위기도 있었고, 출입하는 사람들이 많았던 솟을대문 안의 첫 집이라는 위치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윤일선가옥은 인근에 있는 해평윤씨 집안의 여러 전통 가옥과 다른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