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600447
영어의미역 Saemaeul Movement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부천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진국

[정의]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해방 이후 1970년대까지 활발하게 이루어지던 조직적인 사회 운동.

[개설]

새마을 운동은 1970년 4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이 새마을 가꾸기 사업으로 제창하여, 정치적 요인(국력 신장의 근대화 운동·국가 통치 기반의 이념 필요), 경제적 요인(도·농 간 격차 해소·주민 부담의 재원화), 사회적 요인(농촌 생활 환경의 열악·불만감의 팽배), 국민 정신적 요인(비생산적인 무기력감 만연·범 국민적 에너지 결집 요망) 등에 의해 환경 개선·소득 증대·정신 계발 등 초창기 3대 운동 과제를 도출함으로써 출범하였다.

새마을 운동은 정부 및 지방 행정 기관이 자재·보조금·융자 등의 경제적 지원 및 경쟁·표창 등의 정치적 지원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새마을 운동 사업에 대한 농민의 참가 의욕을 이끌어냈다. 농민 생활 수준의 향상과 정신 혁명을 목표로 1970대에 시작되어 30여 년간 지속되어 온 새마을 운동은 시기별로 다음과 같은 특색을 보이고 있다.

[변천]

1973년 7월 1일 ‘새마을청소년회 부천시연합회’가 최초로 창립되었으며, 1976년 1월 1일에 ‘새마을금고연합회 부천시지부’를 창립하였다. 그리고 1976년 6월 1일에 ‘부천시 민간단체 새마을운동협의회’를 창립하였고, 1978년 7월 ‘새마을문고 부천시지부’를 창립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1981년 1월 17일 ‘새마을지도자 부천시협의회’와 ‘부천시 새마을부녀회’를 창립하였고, 같은 해 11월 8일에는 ‘부천시 새마을조기축구연합회’를 창립하였으며, 1982년 10월 26일에는 지역·직장·문고 등의 새마을 운동 단체 통합 사무실을 개설하였다.

1984년 5월 28일에는 부천시 원미동 87-2번지 시청 별관 3층으로 새마을운동중앙본부 경기도지부 부천시지회 사무실을 이전하였다. 1989년 5월 28일에는 중구·남구지회가 개설되었으며, 1989년 6월 30일에는 새마을운동중앙본부 경기도지부 부천시지회 사무실이 부천시 원미동 71번지[부천로136번길 27]의 구청 내로 이전하였다.

[특징]

부천 지역의 새마을 운동은 농촌 지역의 새마을 운동과는 몇 가지 측면에서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부천 지역의 특성 상 논보다는 밭이 월등히 많았기에 일반적인 농촌 유형과는 달리 서울 근교 지역의 특색을 보여주고 있다. 즉 농촌 새마을 운동과는 일정한 차이를 가지고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1. 1970년대 새마을 운동

새마을운동중앙본부 경기도지부 부천시지회가 1984년 3월에 결성된 이후 각종 관련 단체 결성 현황을 살펴볼 때, 다른 지역에 비해 부천 지역 새마을 운동의 본격적인 점화 시기는 상당히 늦게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71년에 새마을 운동이 발안되고 1973년 이후 대부분의 지역에서 각종 단체가 활발히 결성되었던 사실에 비추어 보았을 때 부천 지역은 약간 늦게 새마을 운동이 점화되었다는 점이다.

물론 부천 지역에서도 중앙의 방침에 따라 1971년부터 준비 작업은 진행되어 ‘기초 마을-자조 마을-자립 마을’의 각 유형에 따라 마을의 분류 작업이 상당히 진전되어 있었다. 초기 새마을 운동을 이끌어 간 새마을 지도자의 평균 연령은 40.77세였으며, 호당 경지 면적은 1.1정보로 비교적 중간 규모의 경제력을 지니고 있었다.

2. 1980년대 이후 새마을 운동

1980년대의 새마을 운동은 1970년대와는 사뭇 다른 방향에서 추진되었다. 1980년대 부천 지역은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전되면서 공장 및 경제 작물 등이 지역을 이끈 중요 경제 활동이었기 때문이다. 1985년 이후 새마을운동중앙본부 경기도지부 부천시지회가 전개한 새마을 사업을 살펴보면, 새마을 걷기 대회, 새마을 웅변 대회, 지회 후원회 창립, 지도자 하계 수련 대회, 새마을 효도관, 새마을 순회 정신 교육 등을 들 수 있다.

지역 협의회가 전개한 사업은 새마을 조기 대청소 및 민·관 합동 간담회 개최, 가을맞이 대청소, 농촌 일손 돕기, 상반기 새마을 지도자 표창, 새마을 자체 방범 봉사대 운영 등이었다. 부녀회에서 전개한 사업은 부녀회 순회 지도, 식생활 개선 교육, 선진지 견학, 국산품 애용 전시장 운영 등이었다.

새마을운동중앙본부 경기도지부 부천시지회 자체에서는 기관지인 『부천』발행, 지회 운영자금 사업, 새마을 운동 실천 사례 발표회 개최, 제대 장병 새마을 교육 등의 사업을 시행하였다. 지역 분야에서의 사업을 살펴보면, 요일별 새마을 대청소의 지속적 실시, 학교 주변 청소년 불량배 단속반 운영, 한문 공부방 설치 및 운영 등을 들 수 있다.

부녀회가 한 사업으로는 상설 부녀 교실 운영, 해외 취업자 교육이었고, 직장 분야에서 한 사업은 낙도 어린이 초청 관광 등이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각 지역 특색에 맞는 새마을 운동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다.

[의의와 평가]

새마을 운동은 긍정적·부정적 측면이 공존하고 있다. 정부에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한 입장에서는 ‘내·외 독점 자본의 순조로운 축적을 보장해 주기 위한 농촌 정책이자 농민 동원 정책’이었으며 독점 기업의 단기적·장기적 시장 확장과 내자 조달, 영농 자금 회수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등의 부정적 면이 지적된다.

이에 반하여 새마을 운동은 우리 국민들에게 절대 빈곤 퇴치(근면), 국민적 자신감 회복(자조)과 잠재력 결집(협동)으로 낙후된 농·어촌을 중심으로 조국 근대화의 견인차 역할과 지역 사회 개발 및 생활 윤리 실천의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는데 기여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우리도 할 수 있다’는 국민적 자신감과 민주 시민 의식을 함양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한국형 지역 사회 개발 모델로서 세계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는 긍정적 평가를 내리기도 한다. 긍정적·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는 새마을 운동에 대한 평가는 좀 더 신중한 자세가 필요하지만, 현재에도 각 지역별로 새마을운동본부가 결성되어 지역 사회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