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0588
한자 昌原鄕校大成殿
영어의미역 Confucius Hall of Changwon County School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의안로59번길 6[소답동 432-2]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최정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4년 12월 28일연표보기 - 창원향교 대성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5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창원향교 대성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이전 시기/일시 1482년 - 창원 향교 청룡산 아래로 이건
이전 시기/일시 1750년 - 창원 향교 천주산 아래로 이건
현 소재지 창원향교 대성전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의안로59번길 6[소답동 432-2]지도보기
성격 제향 공간
정면 칸수 정면 3칸
측면 칸수 측면 4칸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소답동에 있는 창원 향교에서 공자를 비롯한 성현들을 기리던 제향 공간.

[개설]

조선 왕조는 개창 후 일읍 일교(一邑一校)의 원칙에 따라 수령이 파견된 지역에는 중등 유교 교육 기관으로 향교를 설립하였다. 지방의 각 고을에 설치된 향교는 교육의 기능과 함께 성현인 공자를 제향하는 교화의 기능을 아울러 수행하였다. 특히 조선 중기 이후에는 교화의 기능이 보다 강화되었는데, 창원부에 설치되었던 창원향교에서 공자를 기리던 제향 공간이 대성전(大成殿)이다.

[위치]

창원향교 대성전창원시 의창동에 속한 북동중동소답동 일대에 위치하고 있는 창원읍 성지(昌原邑城址) 동쪽에 있다.

[변천]

창원 향교의 창건 연대에 대하여는 다양한 설이 제시되어 있으나 조선 태종 연간의 창건설이 유력하다. 최초의 이건(移建)은 1482년(성종 13)에 부의 서쪽 5.89㎞에 있는 내상리(內廂里)[현 마산시 합성동] 청룡산(靑龍山) 아래로 옮김으로써 시작되었다.

이후 1750년(영조 26)에 이읍(移邑) 논의가 있어 부사 신명식(申命式)이 도감(都監) 박태윤(朴泰潤)과 함께 향교를 천주산(天柱山) 아래의 50보(步) 떨어진 곳으로 옮겼다. 현재의 창원 향교는 1748년(영조 24)에 부의 동쪽 태을산(太乙山) 아래의 용이 남쪽을 굽어보는 형국에 터를 정하고 부사 이윤덕(李潤德)이 여론을 수렴하여 이듬해 정월에 이건하였다.

[형태]

창원향교 대성전은 지대석 위에 3단의 석축을 쌓고 3곳에 계단을 두었다. 초석은 돌의 형태에 따라 자연스럽게 배치를 하였고, 민흘림한 원기둥을 세운 정면 3칸 측면 4칸의 맞배지붕이다. 평면 구성은 앞면 툇간이 복도 형태이며 나머지는 통칸의 우물마루로 짜여 있다.

문은 앞면 내진주 옆에만 2분합문으로 설치되었고, 3면은 벽채로 구성되어 있다. 포작은 주심포계의 외2출목 3익공으로, 가구는 3고주, 7량가이다. 천창은 연등천장이고 처마는 앞과 뒤 겹처마이며 풍판을 달았다. 기와 끝은 막새로 마감하고 단청은 얼금 단청을 하였다. 공자(孔子)를 주벽으로 하여 안자(顔子), 증자(曾子), 자사(子思), 맹자(孟子)와 공문십철(孔門十哲) 및 송조육현(宋朝六賢)을 배향하였다.

[현황]

창원 향교는 강학 공간인 명륜당(明倫堂)과 문묘(文廟)인 대성전, 그리고 입구의 풍화루(風化樓)를 비롯하여 양무(兩廡)와 동재(東齋), 서재(西齋), 내신문(內神門), 전사청(典祀廳), 관리사 등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의 배치는 풍화루와 명륜당 및 대성전을 잇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일직선 배치이다. 풍화루 앞쪽에는 향교의 중건과 이건을 기리는 4기의 송덕비가 있다. 창원향교 대성전은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