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500704
한자 廣德寺千佛殿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리 638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박재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훼철|철거 시기/일시 1975년 - 광덕사 천불전 해체 및 복원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5월 17일연표보기 - 광덕사 천불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47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광덕사 천불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훼철|철거 시기/일시 1998년 - 광덕사 천불전 화재로 소실
개축|증축 시기/일시 2005년~2006년 - 광덕사 천불전 복원 시작/종료
현 소재지 광덕사 천불전 -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광덕리 638 지도보기
성격 천불전|불전
양식 팔작지붕|다포식
정면 칸수 5칸
측면 칸수 3칸
소유자 광덕사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정의]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광덕리 광덕사에 있는 삼국 시대의 불전.

[개설]

천불전(千佛殿)은 모든 중생이 다 부처요 부처가 될 수 있다는 의미로 천불(千佛)을 모신 전각이다. 광덕사 천불전은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4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변천]

광덕사는 643년(신라 선덕여왕 12) 자장 율사(慈裝律師)가 지었고 흥덕왕 때 진산(珍山)이 다시 지었다. 임진왜란으로 불타버리기 전에는 경기도와 충청도 지방에서 가장 큰 절 중 하나였다고 한다. 임진왜란 이후 대웅전천불전을 다시 지었다고 하는데 지금의 천불전은 옛 건물을 1975년에 완전히 해체하여 복원한 것이다. 그 뒤 1998년 화재로 소실되어 2005년부터 2006년에 다시 복원하였다.

[형태]

광덕사 천불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기둥은 큰 자연석 화강암의 주춧돌에 둥근 모양의 기둥을 세웠고, 기둥 위에 장방과 평방을 두른 모습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꾸몄다. 공포의 구성은 내 3출목(出目), 외 4출목으로 짜서 내부보다 외부에 출목수가 많다.

전각 내에는 목조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가섭(迦葉)과 아난(阿難)을 모시고 있다. 비로자나불은 왼 손가락 끝으로 오른 손가락을 덮어 누르고 있어 눈길을 끈다. 세 개의 불상 뒤로 천불이 그려진 불화 3점[삼천불 직조 금화탱 삼좌(三千佛織造錦畵撑三座)]이 걸려 있었다. 이 불화는 「광덕사 사적기」가 제작된 1680년(숙종 6) 당시에도 오래된 듯 보여 그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1998년 12월 화재로 소실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