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1923
한자 中原彌勒大院址
영어의미역 Chungju Mireuk Temple Site
이칭/별칭 대원사지(大院寺址),미륵사지(彌勒寺址),중원 미륵릭사지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58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장준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7년 7월 18일연표보기 - 충주 미륵대원지 사적 제31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충주 미륵대원지 사적 재지정
성격 사지|절터
원건물 건립시기/일시 고려시대
소재지 주소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58 지도보기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에 있는 고려시대 절터.

[변천]

충주 미륵대원지는 1963년에 고고미술사학회(현 한국미술사학회)에 의해 고려 석실[돌방] 사원지로 소개되었고, 1965년에는 경주 석굴암 복원을 위한 자료로 제시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35년 5월 24일에 오층석탑과 석불입상이 각각 국보 제166호와 제167호로 지정되었고, 1963년 1월 21일에 각각 보물 제95호와 제96호로 지정되었다. 그런데 당시 석실 사원이 위치하였던 상모면(현 수안보면)은 행정 구역상 괴산군에 속하여 문화재 지정 명칭은 ‘괴산 미륵리 오층석탑’과 ‘괴산 미륵리 석불입상’이다.

충주 미륵대원지에 대한 본격적인 학술 조사는 1977년부터 시작되어 2차, 3차, 4차, 5차의 발굴 조사와 석실에 대한 실측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들 조사를 통하여 고려시대의 사찰 이름으로 대원사(大院寺)가 확인되었고, 대원사지 동쪽에서 원지(院址)가 발견되어 『삼국유사』에 나오는 ‘미륵대원(彌勒大院)’이 이곳에 있었고, 많은 출토 유물을 통하여 상당한 규모의 사찰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발굴 성과를 통하여 1987년 7월 18일 사적 제317호로 지정되어 국립공원 월악산과 함께 중요한 자원으로 이해되고 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사적으로 재지정되었다.

[발굴조사경위 및 결과]

충주 미륵대원지에 대한 발굴 조사는 1976년 9월에 수안보온천과 연계한 문화 유적 관광지를 조성하기 위하여 실시된 주변 정비 과정 중에 재대석, 장대석, 초석 및 건물지로 보이는 유구와 유물들이 노출되면서 시작하게 되었다. 제1차 조사는 1977년 8월 10일부터 10월 8일까지 이루어졌다. 조사 기관은 청주대학교박물관으로, 1978년에 『미륵리사지 발굴조사보고서』를 간행하여 중원 미륵리 사지에 대한 기본적인 사실을 파악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같은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석굴 실측 조사가 실시되었고, 1979년 2월 15일에 석굴 실측 조사 보고서가 간행되었다.

제2차 조사는 1978년 9월 15일부터 1978년 12월 30일까지 실시되었다. 조사 기관은 청주대학교박물관으로, 보고서는 1979년 8월 20일에 간행되었다. 이 조사에서는 괴산 미륵리 석불입상이 있는 석실의 앞쪽으로부터 석등, 괴산 미륵리 사지 오층석탑, 시도유형문화재 제269호인 귀부(龜趺), 당간지주, 중문지에 이르는 사지의 중심 지역과 하천 서쪽의 건물지 등 가람 배치에 있어서 중심권에 해당하는 지역을 발굴하여 유구의 현상을 파악하였다.

제3차 조사는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서 담당하여 1982년 11월 18일부터 1982년 12월 13일까지 진행되었고, 보고서는 1983년 1월 15일 간행되었다. 당시 조사가 이루어진 지역은 안말마을 입구였다. 조사 결과 새로 조성된 마을의 지하에서도 상당한 유구와 유물이 출토되어 사찰의 권역을 추정하는 단서가 되었다. 이에 따라 이 지역에 대한 발굴 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연차적으로 토지 매입과 정비 계획이 추진되었고, 안말마을은 1986년에 현재의 점말마을로 이주하게 되었다.

제4차 조사는 1990년 7월 16일부터 1990년 11월 30일까지 청주대학교박물관에 의하여 다시 실시되었다. 이 조사에서는 안말마을 지역과 사지 중심 지역의 동쪽 구릉지, 그리고 당시 사찰 권역 내에 있던 세계사 주변 지역에 대한 발굴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안말마을 지역에서 원지(院址)와 관련된 유구를 찾는 성과를 이루었다. 이에 대한 결과 보고서는 1992년 6월 30일에 간행되었다.

제5차 조사는 제4차 발굴 조사의 연장선상에서 진행되었다. 조사 기관은 청주대학교박물관이고, 조사 기간은 1991년 7월 30일부터 11월 22일까지 진행되었다. 이 조사에서는 제4차 발굴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은 담장지 유구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었으나 모두 유실되어 찾지 못하였다. 한편 석실 금당의 서쪽에 있는 개울 건너편에 해당하는 지역에 대한 전면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중요한 건물지 유구는 확인되지 않았고, 조선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건물지의 기단 석렬만이 확인되었다. 또한 동향으로 된 요사 1동의 유구가 완전하게 확인되었다.

5차까지 진행되었던 발굴 조사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충주 미륵대원지에는 석실과 석조물이 있는 하천의 동쪽 면을 중심으로, 하천 서쪽의 평지에는 부속 건물인 요사(寮舍)와 승방(僧房)이 있고, 후대의 건물인 세계사(世界寺)가 있던 언덕과 그 서쪽의 구릉지에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소규모의 건물이 들어섰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사지의 외곽으로는 동서의 산 능선에 돌담장을 설치하여 사역을 둘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황]

현재 충주 미륵대원지의 석실 상부의 목재구조(木材構造)는 남아 있지 않고, 하부 석실 중심에 미륵대불(보물 제96호)이 위치하고 있다. 그 앞쪽엔 석등을 비롯하여 괴산 미륵리 오층석탑(보물 제95호), 돌거북, 당간지주, 불상대좌 등 많은 석조물이 남아 있어 창건 당시의 사격을 말해주고 있다. 충주 미륵대원지는 현재 사적 제317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충주 미륵대원지는 석조(石造)와 목구조(木構造)를 합성시킨 석굴사원(石窟寺院) 터로 석굴을 금당으로 삼은 북향의 특이한 형식을 취한 유일한 유적이다. 현재 석실 상부의 목구조는 남아 있지 않으나 석실 구조물 중앙에는 주존불인 미륵여래(彌勒如來)가 봉안되어 있으며 1977년 발굴에 의해 전실(前室)에 해당되는 구역에서 초석(礎石)들이 발견되어 평면의 구조를 알 수 있게 되었다.

발굴 조사 때 ‘미륵당(彌勒堂)’, ‘명창삼년금당개개와(明昌三年金堂改蓋瓦)’ 등의 명문와(銘文瓦)가 출토되어 1192년(명종 22) 금당의 기와를 새로 수리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석굴과 전실의 목구조가 소실된 것은 13세기였다. 그 후 곧 복원되었다가 조선 전기에 다시 중수하였고, 임진왜란(壬辰倭亂)을 거쳐 18세기에 다시 한 번 중수되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법등이 끊긴 것은 1936년에 있었던 큰 수해가 직접적인 원인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사원지로는 유일하게 북쪽을 바라보는 특이한 구조를 가진 절터로서, 그 자료적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전해지는 바에 의하면, 신라 경순왕의 아들 마의태자가 나라가 망함을 슬퍼해 금강산으로 가는 도중에 누이 덕주공주가 지은 월악산의 덕주사를 바라보도록 북쪽을 향해 지은 석실사원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5.04.13 항목명 수정 중원 미륵리사지->충주 미륵대원지로 수정(2015.4.13)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