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1773 |
---|---|
한자 | 大邱 大鳳洞 - |
이칭/별칭 | 대구 대봉동 지석묘군,구 편창제사공장내 지석묘,경북대 사대부고내 지석묘,신천 좌안의 고인돌,신천 유역의 고인돌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44|대봉동 55|달구벌대로 2178[대봉동 60-19]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민선례 |
소재지 | 대구 대봉동 고인돌Ⅰ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178[대봉동 60-19] |
---|---|
소재지 | 대구 대봉동 고인돌Ⅱ -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44·55 일대 |
성격 | 고분 |
양식 | 고인돌 |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일대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
대구 대봉동 고인돌은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일대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이며, 신천 변의 자연제방에 분포하여 ‘신천 좌안의 고인돌’ 또는 ‘신천 유역의 고인돌’로 불린다. 대구 대봉동 고인돌Ⅰ은 현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설중·고등학교 내 지석묘’로도 불린다. 『대구부사(大邱府史)』에 대구사범학교[현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설중·고등학교] 뒤편에 2기, 교정에 3기가 있었는데 학교 현관으로 옮겼다고 기록되어 있다. 대구 대봉동 고인돌Ⅱ는 『대구부사』에 편창제사공장(片倉製絲工場)에 조사되지 않은 고인돌 3기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어 ‘구 편창제사공장 내 지석묘’라고도 불렸다. 편창제사공장은 구 대구상고와 구 경북고등학교 사이 넓은 지역에 있었지만, 현재 아파트와 주택·상가가 밀집되어 고인돌을 확인할 수 없다.
대구 대봉동 고인돌Ⅰ의 위치는 대봉동 60-19번지로 현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설중·고등학교이다. 대구 대봉동 고인돌Ⅱ의 위치는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44·55번지 일대로 구 편창제사공장(片倉製絲工場)이 있던 자리이다. 1990년대 초에는 청구맨션과 대구맨션[달성맨션], 광명맨션 등의 아파트와 주택·상가가 밀집되어 있는 곳이었지만, 최근 재개발이 이루어져서 대봉서한포레스트아파트, 대봉태왕아너스아파트 등이 지어지고 있다.
대구 대봉동 고인돌은 일제강점기 대구사범학교, 편창제사공장, 대구상업고등학교[현 대구상원고등학교]가 들어서면서 이동하거나 사라져 현재 2~3기의 고인돌 덮개돌[상석]이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설중·고등학교에 이동된 채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