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2404 |
---|---|
한자 | 夏正益 |
영어공식명칭 | Ha Jungik |
이칭/별칭 | 내겸(乃謙),추모재(追慕齋) |
분야 | 종교/유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효자·열녀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구본욱 |
출생 시기/일시 | 1794년 7월 14일![]() |
---|---|
몰년 시기/일시 | 1839년 8월 8일![]() |
추모 시기/일시 | 1864년 - 하정익 효행으로 동몽교관 추증 |
출생지 | 만촌동 -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 |
거주|이주지 | 만촌동 -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 |
묘소|단소 | 하정익 묘소 -
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
![]() |
성격 | 효자 |
성별 | 남성 |
본관 | 달성(達城) |
조선 후기 대구 출신의 효자.
하정익(夏正益)[1794~1839]의 본관은 달성(達城)이며, 자는 내겸(乃謙), 호는 추모재(追慕齋)이다. 아버지는 하학필(夏學必)이고, 어머니는 인천이씨(仁川李氏)이다. 진무원종훈(振武原從勳) 하운서(夏雲瑞)의 후손이다.
하정익은 1794(정조 18) 7월 14일 지금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에서 태어났다.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1776~1852]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하정익은 부모를 봉양하는 데 정성을 다하여 추울 때에는 이부자리를 따뜻하게 하고, 더울 때에는 침상을 서늘하게 하였다. 부모의 삼년상을 치르는 동안 이[齒]를 보이지 않았고 겨울에 눈이 내려 묘소에 쌓이면 매번 쓸었다고 한다. 어머니가 기거하던 방을 영요루(靈曜樓)라고 하였는데, 남쪽에 있는 형제봉의 신령스럽고 맑은 기운이 모여들기를 바라서였다고 한다. 하정익은 1839년(헌종 5) 8월 8일 사망하였다.
하정익의 묘소는 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 옥녀봉(玉女峰)에 있다.
1863년(철종 14) 경상도 유생 서홍렬(徐弘烈) 등이 효행으로 소(疏)를 올려 하정익은 1864년(고종 1) 봉정대부(奉正大夫) 동몽교관에 추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