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127
한자 大邱 新塘洞 墳墓群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고분
지역 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김병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 시기/일시 고려시대~조선시대 - 대구 신당동 분묘군 조성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3년 2월 25일~5월 29일 - 대구 신당동 유적 영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12년 11월 20일~2013년 2월 26일 - 대구 신당동 유적 삼한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
소재지 대구 신당동 분묘군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서대로 719[신당동 682-30]|산38|산39-15|산39-19|산49|산50지도보기
성격 분묘 유적

[정의]

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에 있는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 분묘 유적.

[위치]

대구광역시 달서구 북쪽에 있는 와룡산[295m]과 와룡산 서쪽에 있는 궁산[252m] 사이에 신당고개가 있다. 대구 신당동 분묘군은 신당고개 남서쪽의 완만한 구릉 사면에 있다. 이어지는 주변 구릉 사면부에는 신당동 고분군신당동 토기요지, 신당동 산53번지 유적이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대구 신당동 분묘군 일원에 계획된 아파트 건설에 앞서 사업예정지[B구역]에 대하여 2003년 2월 25일부터 2003년 5월 29일까지 영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동쪽 능선 Ⅰ지구에서 삼국시대 토기 가마터[요지(窯址)]·집자리[주거지(住居址)]·돌덧널무덤, 고려·조선시대 토광묘가 조사되었다. 서쪽 능선 Ⅱ지구에서는 삼국시대 돌덧널무덤·집자리, 고려·조선시대 토광묘가 조사되었다.

1981년 지표조사에서 확인된 토기 가마터가 있는 신당동 49번지 일원에 계명문화대학교에서 보건동 신축 사업이 진행되었다. 사업예정지[A구역]에 대하여 삼한문화재연구원에서 2012년 11월 20일부터 2013년 2월 26일까지 발굴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삼국시대 토기 가마터, 남북국시대 돌방무덤[석실분(石室墳)]·돌덧널무덤, 고려시대 돌덧널무덤, 조선시대 토광묘, 시기 미상의 채석장이 조사되었다.

[형태]

대구 신당동 분묘군 A구역에서는 고려시대 돌덧널무덤 5기, 조선시대 널무덤 15기가 확인되었다. 고려시대 돌덧널무덤은 삼국시대의 것과 구조가 비슷하나 상부에 벽감을 만들고 청자 등을 매납한 것이 특징이다. 조선시대 널무덤은 묘역 시설이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구분되는데, 1호의 경우 단벽에 감실을 설치한 점이 특징이다. B구역에서는Ⅰ지구에서 4기, Ⅱ지구에서 12기 등 모두 16기의 널무덤이 조사되었는데, 고려시대의 널무덤은 7기이며, 조선시대의 널무덤은 9기이다. 고려시대 널무덤은 할석을 이용하여 목관과 묘광 사이에 충전하거나 묘 상부에 적석한 형태와 순수하게 흙을 이용한 것으로 구별된다.

[출토 유물]

대구 신당동 분묘군 A구역에서는 고려시대 돌덧널무덤에서 풀무늬 청자병·완, 청자사발, 청동숟가락 등이 출토되었고, 조선시대 널무덤에서는 1호 감실에서 덤벙 기법의 분청사기가 출토되었고, 나머지 널무덤에서는 관정이 일부 확인되었다. B구역에서는 고려시대 널무덤에서 토기류 3점, 자기류 5점, 청동류 9점, 철기류 65점 등 합계 82점이 출토되었는데, 철기류 중 부장의 의미를 찾기 어려운 관정을 제외하면 주로 자기, 토기병, 청동합, 청동숟가락이 공반된다.

[현황]

대구 신당동 분묘군은 현재 2차례의 발굴 조사 완료 후 신당꿈에그린아파트와 계명문화대학교 보건동 건물이 조성되어 있다. 남쪽으로 이어지는 구릉 사면부에 고려·조선 시대 분묘가 더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대구 신당동 분묘군에서는 고려시대의 돌덧널무덤, 널무덤, 조선시대의 널무덤이 조사되었다. 고려시대 전·중기 다양한 형태의 무덤과 청자, 토기병, 청동합, 청동숟가락이 함께 부장되는 양상이 확인되어 당시 무덤 축조와 무덤 의례 등의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