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기구목사대구촌서 신충」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525
한자 寄具牧使大丘村墅 信忠
영어공식명칭 A poem to Gu-sinchoong
이칭/별칭 구신충의 대구 촌서에 부치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곽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420년 - 서거정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488년 - 서거정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705년 - 「기구목사대구촌서 신충」 저자 서거정의 『사가집』 간행
배경 지역 구신충 거처 - 대구광역시
배경 지역 구암서원 - 대구광역시 북구 연암공원로17길 20[산격동 산79-1]지도보기
성격 한시|칠언율시
작가 서거정

[정의]

대구의 구암서원에 제향된 조선 전기 문신 서거정구신충의 새로운 거처에 지어 준 시.

[개설]

「기구목사대구촌서 신충(寄具牧使大丘村墅 信忠)」을 쓴 서거정(徐居正)[1420~1488]은 본관이 달성(達城)이고, 자는 강중(剛中)·자원(子元)이며, 호는 사가정(四佳亭) 또는 정정정(亭亭亭)이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아버지는 서미성(徐彌性)이고, 어머니는 권근(權近)의 딸이다. 1438년(세종 20) 생원·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고, 1444년(세종 26) 문과에 합격한 이후로 집현전박사(集賢殿博士), 집현전응교(集賢殿應敎), 홍문관대제학, 세자이사(世子貳師) 등을 거치면서 조선 전기의 문병(文柄)을 장악하였다. 국가의 편찬 사업을 주도하여 『동국통감(東國通鑑)』·『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동문선(東文選)』·『경국대전(經國大典)』·『연주시격언해(聯珠詩格言解)』 등을 공동 편찬하였다. 저서로 1705년 간행된 『사가집(四佳集)』이 있다.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구암서원(龜巖書院)에 제향되었다.

구신충(具信忠)[?~1460]의 본관은 능성(綾城)이다. 조선 전기 문신으로 1444년 식년시(式年試) 정과(丁科)로 등과하여, 병조좌랑(兵曹佐郞)·지평(持平)·병조정랑(兵曹正郞)·사헌집의(司憲執義)·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하였다.

[구성]

「기구목사대구촌서 신충」은 칠언율시이다.

[내용]

창망가산나개변(悵望家山那箇邊)[서글피 바라보아도 고향 산천 그 어딘지]

단암귀로몽상견(丹岩歸路夢相牽)[단암 지나 돌아가는 길 꿈속에 선하네]

수무계자삼간옥(雖無季子三間屋)[비록 계자의 세 칸 오두막집은 없고]

지유소군이경전(只有蘇君二頃田)[단지 소군의 두 이랑 밭만 있을 뿐이라]

아독공금회토부(我獨空唫懷土賦)[나 홀로 공연히 「회토부」 읊조리는데]

군금선영복거편(君今先詠卜居篇)[그대는 지금 먼저 「복거편」 읊조리누나]

하당걸골환향거(何當乞骨還鄕去)[어찌하면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가]

동취금호월만선(同醉琴湖月滿船)[금호에서 달 가득 배 타고 함께 취할꼬]

[특징]

「기구목사대구촌서 신충」은 선(先) 운목이 사용된 칠언율시이다. 고향 대구를 그리워하는 정서가 돋보인다.

[의의와 평가]

「기구목사대구촌서 신충」은 진(晉)나라 때의 문인 육운(陸雲)과 전국시대 유세가 소진(蘇秦)의 고사를 활용하였다. 서거정은 대구목사로 파견된 구신충의 객지 벼슬살이를 위로하고, 중국 삼국시대 왕찬(王粲)의 「등루부(登樓賦)」 용사(用事)를 변용하여 자신의 처지와 심정을 효과적으로 드러내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