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삼재막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102040
한자 三災-
영어의미역 Rite to Protect from Three Disasters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충청북도 음성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기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풍속
의례시기/일시 정초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음력 1월에 액운을 막고 한 해의 복을 비는 풍속.

[개설]

복조리 달기, 토정비결 보기, 세화그리기·붙이기, 대문에 엄나무가지 매달기, 머리카락 태우기, 지신밟기 등과 같이 정초(正初)에 복을 비는 민간신앙 형태의 풍속이다.

[연원 및 변천]

삼재(三災)라는 것은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災) 또는 병란(兵亂), 질역(疾疫), 기근(饑饉)을 말한다. 삼재법이란 뱀[巳], 닭[酉], 소[丑] 해에 태어난 사람은 돼지[亥], 쥐[子], 소[丑] 해에, 원숭이[申], 쥐[子], 용[辰] 해에 태어난 사람은 범[寅], 토끼[卯], 용[辰] 해에, 돼지[亥], 토끼[卯], 양[未] 해에 태어난 사람은 뱀[巳], 말[午] , 양[未] 해에, 범[寅], 말[午], 개[戌] 해에 태어난 사람은 원숭이[申], 닭[酉], 개[戌] 해에 각각 삼재가 드는 것을 말한다. 세속에서는 이 복설을 믿어 삼재를 예방하기 위한 여러 풍속으로 액을 막고자 하였다.

[절차]

음성군에서는 토정비결이나 무당의 점괘에서 삼재가 들었다고 하면 절에 가서 삼재를 풀어내기 위한 불공을 올린다. 삼재가 든 사람의 나이 수대로 동전을 준비하고 속옷을 가지고 가는데, 속옷은 삼재 풀이를 하면서 태운다. 감곡 지역에서는 집안에 그 해에 삼재에 드는 가족이 있으면 설날에 매 세 마리를 그려서 문설주에 붙인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정초는 정월달의 시초라는 말로서 음력 정월 초하루부터 보름까지의 기간을 말하며 한 해가 시작되는 시기로서 새해를 맞는 준비를 하는 때이다. 따라서 정초의 명절에는 이러한 절기의 특성이 잘 반영되어 있다. 삼재막이도 한 해를 준비하며 복덕을 비는 민간의 희망이 잘 나타나 있는 풍속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