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1336
한자 德裕山 國立 公園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종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1975년연표보기 - 덕유산 국립 공원 국립 공원 건설부 공고 제25호에 의해 지정
개관|개장 시기/일시 1975년 - 덕유산 국립 공원 전라북도 관리 사무소 개소
개관|개장 시기/일시 1987년 - 덕유산 국립 공원 관리 공단 덕유산 사무소 개소
최초 설립지 덕유산 국립 공원 사무소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411-8
성격 국립 공원
면적 약 232㎢
전화 063-322-3174
홈페이지 http://deogyu.knps.or.kr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함양군, 전라북도 무주군, 장수군에 걸쳐 있는 국립 공원.

[개설]

우리나라 국립 공원은 현재 20곳이 지정되어 있다. 6,578.518㎢[육지 면적 3,894.008㎢, 해수면 2,684.510㎢]으로서 전체 국토 면적의 6.6%에 해당하는 적은 면적이지만 우리나라 생물 유전 자원의 70%가 서식하는 지역이다. 덕유산 국립 공원은 경상남도 거창군, 함양군, 전라북도 무주군, 장수군에 걸쳐 있으며, 그 면적은 231.685㎢에 달한다. 덕유산은 해발 1,614m로 남한에서 네번째로 높은 산에 해당한다. 1975년에 국립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수리적 위치는 동경 127° 38′~127° 49′, 북위 35° 44′~35° 59′에 있으며, 남고 북저형의 지형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구간이 급경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부 지형에서 평탄면이 나타나고 있다.

[변천]

덕유산 국립 공원은 1975년 2월 1일에 전국에서 10번째로 국립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같은 해 국립 공원 전라북도 관리 사무소가 개소되어 덕유산 국립 공원의 관리를 맡았으며, 1987년 국립 공원 관리 공단 덕유산 사무소가 개소됨에 따라 권한이 이관되어, 덕유산 사무소에서 현재까지 관리를 맡고 있다.

[구성]

덕유산은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과 중생대 화성암과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변성암의 경우 소백산 편마암 복합체와 지리산 편마암 복합체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생대 화성암의 경우 중생대의 불국사 화강암, 대보 화강암, 쥐라기 편마상 화강암과 같은 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일부 지역에 퇴적암으로 신라층군과 능주층군의 퇴적물이 존재하고 있다.

[현황]

덕유산의 향적봉은 해발 1,614m로 덕유산의 주봉으로 인식되고 있다. 덕유산에는 13개의 대, 10여 개의 못, 20개의 폭포 등의 자연 경관이 존재하고 있다. 덕유산은 한반도 남부 지역의 자연 장벽 역할을 하고 있어, 고대에는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 역할을 하였으며, 영호남의 경계로서 현재도 그 역할을 하고 있다.

북쪽 계곡에는 무주 구천동이 있으며, 장수 쪽에는 칠연 계곡, 토옥동 계곡이, 거창 방면에는 월성 계곡 등이 위치하고 있다. 덕유산의 연평균 기온은 11.5℃이며, 최난월 평균 기온은 24℃, 최한월 평균 기온은 -1.8℃이다. 연강수량은 1,265.9㎜이며, 하계 강수 집중률은 50~60%에 달하고 있다. 평균 풍속은 1.3m/sec이며, 3~6월 사이에 풍속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