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0031
한자 佛敎
영어음역 Bulgyo
영어의미역 Buddhism
분야 종교/불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집필자 이기훈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활동하는, 석가모니(釋迦牟尼)를 교조로 하는 종교.

[개설]

불교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최고의 가르침으로 받들고 이를 세상에 펼치는 종교이다. 어느 나라에 있는 불교든 사실은 석가모니의 학설을 기준으로 삼는데,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어떻게 펼치느냐에 따라 기본적으로 소승 불교와 대승 불교로 나뉜다. 한국에 전해진 불교는 일반적으로 대승 불교이다.

한국 불교는 일반적으로 중국을 거쳐 전해졌다고 한다. 중국에서도 불교가 이해되는 과정은 매우 긴 세월이 걸렸다. 불교가 중국에 전파된 것은 기원 65년 전후인데, 이를 이해하는 데 대략 300년이 걸렸다. 그 이해의 마지막 순간에 불교 경전을 한문으로 번역한 구마라습[鳩摩羅什]과 또한 불교를 ‘이’(理)로 해석한 지둔(支遁)이 나타났다. 이후 수나라와 당나라를 거치면서 불교는 여러 종파로 분화되었고, 그 가운데 유력한 종파는 천태종·화엄종·정토종·선종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파 분화 이전에 한국에는 이미 불교가 들어와 있었다.

우리나라에 불교가 처음 들어온 것은 372년에 고구려를 통해서이다. 백제는 384년, 그리고 신라는 이보다 한참 늦은 527년에 이차돈(異次頓)의 순교로 불교가 공인되었다. 재미있는 것은 우리나라 서울의 명칭이 바로 산스크리트 어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원래 신라 혹은 서라벌, 그리고 서울은 인도의 도시 슈라와스띠(Sravasti), 즉 불경에서 ‘사위성(舍衛城)’을 번역한 음차어이다. ‘슈라와스띠’가 ‘서벌’ 또는 ‘서라벌’이 되고, 이것이 또 ‘서울’이 된 것이다. 이는 한국에서 얼마나 불교의 영향이 깊었는지를 보여 주는 것이다.

사실 불교는 정치적인 이유로 받아들여졌다. 신라의 역대 왕들은 불교를 이용하여 민심을 다독이고 국력을 강하게 하는 데 목표를 두었으며, 이로써 불교가 크게 발전하였다. 신라 당시 교종과 선종이 양립했다고 하지만, 신라 시대부터 한국은 특히 선종의 전통이 강하였다. 이후 고려 시기 불교는 크게 융성하여 결국 보조국사(普照國師)의 ‘돈오점수(頓悟漸修)’의 사상이 탄생하게 된다.

그러나 조선 시대에 들어서 숭유척불의 정책에 의해 불교계에서는 유교나 불교나 비슷한 가르침을 설파한 것이라 주장하게 된다. 그러면서도 국난에 처했을 때는 호국 불교의 위세를 떨치면서 점차 그 교세가 확장되었으며, 깊은 산 깊은 골에 수도에 전념하고 민중들과 함께하는 대덕(大德)[승려]들이 나오게 된다. 이러한 전통은 일제 시기의 호국 불교와 민중 불교로 이어지고 현재에는 전도를 통해 많은 신도들이 형성되면서 그 세가 크게 확충되어 한국에서는 가장 신도 수가 많은 종교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는 완전한 정신적 자각을 추구하는 가르침이자 종교라는 원의를 잃지 않았다. 2000년을 전후로 하여 원래 석가모니의 말씀으로 돌아가자는 초전 불교 운동이 일어나, 빨리 어·산스크리트 어로 석가모니의 원래 말을 돌아보고자 하는 시도가 일어나고 있다.

[변천]

불교가 한국에 들어온 것은 기록상 고구려가 가장 빠르다. 고구려에는 372년 중국 진(晉)에서 승려 순도(順道)를 파견하여, 불상과 불경을 전했으며, 이윽고 374년 진나라 승려 아두(阿頭)가 들어왔다. 백제는 384년(침류왕 원년)에 인도 승려 마라난타(摩羅難陀)가 불교를 전했다. 이에 비해 신라는 이보다 거의 50년 늦은 눌지왕아도(阿道)가 불교를 전하기는 하였으나, 정식으로 불교가 승인된 것은 528년 이차돈의 순교 때문이다.

그런데 『삼국유사(三國遺事)』 흥법(興法)을 살펴보면 ‘아도’가 신라 불교의 터를 닦은 것은 맞지만 그 연대가 263년까지 올라간다고 하였다. 하지만 찬자(撰者) 일연(一然)이 스스로 평하기를 고구려에 온 ‘아두’가 이후 다시 신라로 온 것이라 하였다. 이처럼 신라에서 불교는 꽃을 피웠음에도 불구하고 불교 전래의 과정은 명확하지가 않다. 그럼에도 김천 지역 불교는 분명 신라 불교의 영향을 받고 있다. 그것은 『삼국유사』에서 아도 혹은 묵호자(墨胡子)[아도의 별명]가 활동했던 지역이 바로 김천 남쪽과 접하여 있었기 때문이다.

김천 지역에 불교가 들어온 것은 신라 눌지왕 때인 5~6세기이다. 실제로 불교는 고구려에서 신라로 유입되는데, 대개 불교 유입의 통로를 동해안 지역을 통한 유입, 문경을 통한 유입, 김천을 통한 유입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김천이 불교의 유입 경로에 있었다고 해서 경주보다 먼저 불교가 전해졌다고는 할 수 없지만, 신라 불교 유입과 그 시대를 같이 하였음은 『삼국유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신라 불교가 중흥하면서 김천 지역 불교도 중흥하였다. 급고자의 직지사 사적비에 의하면 묵호자가 선산에 도리사를 창건할 때 직지사도 창건하였다고 한다.

이후 7세기 신라의 고승 승전(勝詮)갈항사(葛項寺)를 창건하고 『화엄경(華嚴經)』을 강의하여 많은 신도들이 생겼다. 특히 승전의상(義湘)에게 자신의 화엄학을 전하였다. 의상과 함께 이 시기 유명한 승려는 자장(慈藏)원효(元曉)이다. 의상원효는 각기 화엄종과 법성종의 대표 인물이었지만, 모두가 학승으로 사상적으로는 삼국 통일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들의 공로에 힘입어 불국사와 석굴암이 세워졌는데, 특히 화엄종은 영주 부석사를 중심으로 민간 신앙으로 널리 퍼지게 되었다. 지금은 아쉽게도 터만 남아 있지만 갈항사가 부석사보다 먼저 민간 신앙의 중심에 있었던 것이다. 바로 이때가 한국 불교의 융성기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나말 여초에 들어오면서 불교는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우선 통일 신라 말기에 불교는 더욱 주술적 형태로 바뀌면서 쇠퇴하였다. 그리고 이 시기 선종의 선법이 전해지게 되면서 구산선문(九山禪門)이 세워지게 되고, 고려에 들어가면서 선·교 양종을 각기 선종과 화엄이 양분하여 맡게 된다. 특히 균여(均如)가 화엄학을 다시 정립하고 이후 의천(義天)의 천태종이 선종까지 포괄하는 양상을 띠게 된다.

그러나 원나라의 침입 시기 지눌(知訥)이 조계산(曹溪山)에서 강론하면서 정혜결사(定慧結社) 운동[선정(禪定)과 지혜(智慧)를 같이 닦자는 운동. 당시 불교계가 자신의 본분보다는 세속의 명리를 탐하고 자파의 이익만을 구해 교종과 선종의 대립상이 심한 것을 개탄하고, 이를 혁신하기 위해 결사를 만든다는 취지]을 펼쳐 이후 한국 불교는 선종이 위세를 떨치고 교종은 약화되었다. 고려 말 불교는 더욱 선(禪)에 치우치고 원나라의 침입 시기 라마 불교까지 들어와 더욱 주술적이고 미신적이 되었다. 김천이 신라 시대에 경주의 영향을 받았다면 고려 시기에도 이러한 영향을 그대로 받고 있었다.

조선 시대에 와서 불교는 배불 정책으로 인한 침체기를 겪었다. 하지만 김천 불교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직지사정조의 어태(御胎)를 모신 사찰이자 선종고찰(禪宗古刹)이라는 이유로 보존될 수 있었다. 또 조선 중기 사명대사(四溟大師) 유정(惟政)직지사에서 신묵화상에게 선을 받아 승려가 되었는데, 유정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하여 크게 전공을 세웠다. 이로써 한국의 불교가 구국 불교임을 명확하게 보여 주었다.

[현황]

2010년 현재 김천에는 조계종 계열의 사찰이 가장 많은데, 그 중심에는 직지사가 있다. 직지사는 제8교구 본산으로, 김천 산하에 6개소의 암자와 17개소의 말사를 거느리고 있다. 직지사 자체 내에서만 수도하는 승려가 대략 60여 명이며, 신도 수도 3,000여 명에 이른다[2010년 6월 직지사 추산]. 직지사의 대표적인 암자는 운수암·백련암이며, 규모가 큰 말사는 승가대학과 율원을 가진 청암사, 정기 법회 및 부정기 법회를 하고 있는 고방사개운사 등이다. 특히 개운사는 포교당으로 매달 초하루 정기 법회를 열고 있다.

김천 지역에는 조계종 이외에 불교의 여러 종단이 있다. 태고종은 조선 시대 태고보우국사(太古普愚國師)를 종조로 하는데, 1970년에 대한불교 태고종을 창립하였다. 김천에는 1987년 김천시 평화동 시장 1층에 태고종 김천분원을 시민선원과 아울러 개설하였다.

천태종은 원래 불교의 큰 교파였고 고려 시대 대각국사(大覺國師)가 개종한 이래 크게 융성하였으나, 조선에 들어와 숭유 억불 정책으로 선종과 통합되었다. 하지만 1966년에 다시 천태종을 창립하고, 1969년에 대한불교 천태종으로 정식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김천에는 천태종으로 금강사고성산 여래사 등이 있다.

원불교의 경우 1900년 이후 발생한 신흥 불교 종교였으나, 김천에는 1963년 원불교 김천출장소로 시작하여 현재 원불교 김천교당원불교 구성교당이 있다. 이 외에 일성종 3개소, 원효종 6개소, 대성종, 법화종, 진각종이 각 1개소씩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