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의병항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600483
한자 義兵抗爭
영어의미역 Anti-Japanese Army Struggle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김제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백덕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의병운동|독립운동
발생(시작)연도/일시 1895년연표보기
종결연도/일시 1907년연표보기
관련인물/단체 자사일|김광춘|김찬경|김치국|박영춘|지춘경

[정의]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일어난 개항기 의병 항쟁.

[역사적 배경]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일어난 한말 의병항쟁은 1895년 명성황후 시해사건과 단발령이 계기가 되어 발생한 것으로, 활동 시기에 따라 을미의병·병오의병·정미의병 등으로 구분된다. 을미의병은 명성황후 시해사건과 단발령, 그리고 복제(服制)의 변경 조치로 발생하였고, 병오의병은 1904년 러일전쟁을 일으킨 일본이 전쟁에서 승리한 후 1905년 강제로 을사보호조약을 체결하자 이에 반대하여 일어난 것이다. 그리고 정미의병은 1907년 고종의 강제 퇴위와 군대 해산을 계기로 발생한 것을 말한다.

[목적]

김제 지역의 한말 의병항쟁의 목적은 나라의 국권 회복과 자주권 수호, 그리고 일본 제국주의적 침략에 대한 적극적 대응을 위함이었다.

[발단]

을미의병은 1895년 10월 명성황후가 일본인들에 의해 무참히 살해되는 을미사변이 발생하고, 이어 황후 폐위조칙과 친일 내각에 의해 강제로 실시된 단발령 등이 도화선이 되어 일어났다. 병오의병은 1905년 11월에 체결된 을사보호조약의 진상이 『황성신문(皇城新聞)』에 의해 폭로되고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이라는 제목의 논설은 전 민족의 애국 여론을 들끓게 하였다. 항일 언론의 계속적인 규탄과 유생들의 상소, 민영환(閔泳煥) 등의 자결은 민심을 크게 자극하였고 마침내 일본에 대한 무력항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정미의병은 1907년 헤이그 밀사사건으로 고종이 강제 퇴위당하고, 정미7조약이 강제 체결된 데에 대한 분노와, 이완용(李完用)과 이토 히로부미 사이에 교환된 비밀각서에서 한국군은 육군 1개 대대만 남겨 놓고 해산된다는 내용이 알려지면서 군부대의 봉기와 지방 진위대의 봉기가 일어남으로써 시작되었다.

[경과]

을미의병은 이전부터 위정척사론에 입각하여 외세의 배격과 개화에 반대하던 보수적 유생들이 주도하였는데, 처음 충청도 보은과 제천에서 먼저 의병이 일어났고 이후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이렇듯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나자 조정에서도 서둘러 선무사(宣撫使)를 파견하는 한편, 군대를 보내어 진압에 나섰다. 당시 의병부대는 김홍집(金弘集) 친일 내각의 지방관을 처치하고 정부군과 일본군에 대항하였으나, 고종의 아관파천으로 친일 내각은 곧 무너졌다. 이후 단발령을 철폐하는 한편, 미수·미납된 공세(貢稅)를 탕감하는 조치를 취하였으며, 의병 해산의 조칙이 내려져 대부분은 해산하였으나 국왕의 회유 조칙에 반대한 유인석(柳麟錫)·민용호(閔龍鎬) 부대는 만주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병오의병의 첫 봉기는 원천(原川)에서 일어났다. 강원도 지역의 의병이 해산된 뒤 전국 각지에서 의병 봉기가 뒤따랐는데, 이중 규모가 컸던 것은 충청도와 전라도, 경상도 등지에서 일어났다. 정미의병운동이 군대 해산으로 말미암아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감에 따라 관동(關東) 의병장 이인영(李麟榮)을 중심으로 전국 의병연합에 의한 서울 진공 계획의 기운이 고조되어 갔다. 이 의진은 1908년 정월을 기해 서울로 진공하여 한국 문제를 국제화함으로써 유리하게 해결하려고 세운 작전에 동대문 밖 30리 지점까지 도달했다. 그러나 계획을 사전에 탐지한 일본군의 선제 공격을 받아 패퇴하고, 결국 서울 진공 계획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결과]

김제 지역에서도 적지 않은 의병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나, 구체적인 기록은 없고 의병 활동으로 체포되어 법정에서 형을 받은 자들만이 기록으로 남아 있다. 그들은 김광춘(金光春), 김찬경(金贊京), 김치국(金致局), 박영춘(朴永春), 지춘경(池春京) 등이다. 이들 중 자사일, 김광춘, 김찬경은 김해산(金海山)의 부하였고, 박영춘은 안종문(安宗文)의 부하였다. 이들은 모두 농업에 종사하였다. 망건 제조업을 하던 김치국과 농사를 짓던 지춘경은 군자금을 조달한 혐의로 형을 받았다. 김치국은 징역 5년, 자사일과 김광춘은 징역 7년, 김찬경과 지춘경은 징역 10년이 선고되었으며, 박영춘은 효수되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김제 지역 의병 현황

[의의와 평가]

김제 지역의 항일항쟁으로 대표되는 한말 의병항쟁의 역사적 의의는 첫째, 의병전쟁의 주도층이 유생과 농민으로, 이들은 일제 침략자와 그에 협력한 소수의 집권자들에 대한 최대의 저항자로서 항일 민족 세력을 형성하는 데 가장 큰 구실을 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의병전쟁과 3·1운동, 그리고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줄기차게 전개된 농민운동이 모두 한말 의병항쟁을 비롯한 항일운동과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