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02618 |
---|---|
한자 | 富貴功名辭 |
영어음역 | Bugwigongmyeongsa |
영어의미역 | Short Poem about Wealth, Rank and Fame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율정리 |
집필자 | 이걸재 |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율정리에 전해지는 중고제 단가.
[개설]
「부귀공명사」는 공주시 의당면 율정리 이강습이 부르던 단가 중 하나로, 다른 지역에서나 다른 사람이 부르거나 채록된 기록이 없는 노래다. 양반집이요, 부잣집에 인물 훤한 대장부로 태어나서 글공부도 할 만큼 했는데 벼슬 한번 못하고 늙어버린 인생의 덧없음을 한탄하는 내용이다. 그러고는 자신이 불의에 휩쓸리지 않고 일생을 살아온 것을 일러 부귀공명의 본질이 이런 것이라고 노래한 단가이다.
[채록/수집상황]
1968년 이강습의 창을 이걸재가 채록하였다.
[구성 및 형식]
「부귀공명사」는 아니리와 중모리의 판소리재로 구성되었다.
[내용]
〈아니리〉
아 옛날이 말여. 깊지두 얕지두 안턴 어떤 마을이 어떤 늙은이가 있었디야. 그르타구 그니가 츰부텀 늙은이였는냐? 아니지. 양반집안이서 태어났구 그 집이 부자였다는겨. 인물이 못생겼느냐? 그것두 아니지. 헌헌장부 두목지를 닮어서는 대장부루써 훤한 인물이었구. 거기다가 글공부두 할 만큼은 했덩게벼. 아 그른디 어티기 하다 보닝께 베슬 한자락 못해보구는 폭싹 늙어버린겨. 그려서 인생이 참으루 허망한 것이구나 하구 생각할라닝께 그래두 자기가 양반 찌끄리기인지라. 부귀공명이 하잘 것 웁는 것이다 하구 소리치는디 꼭 일으키 했덩게벼.
〈창〉
부귀공명 쓰잘디기 웁다/ 녹수청산 흐르는 물도 때가 되며는 창해(滄海)루 가구/ 청산속이 크는 남그(木)두 생로병사를 못 면하느니/ 흉중이다 욕심 늑쿠(넣고) 이 금 저 금 그어/니 것 내 것 챙겨가며 어느 천년이 번민을 털구/ 부귀 공명을 논(論)할 손가/ 가슴속에 들어 있는 욕심 보따리를 끄집어 내여/ 스르르르르릉이 풀어놓면 너두 편쿠(편하고) 나두 편쿠/ 한두 웂이(없이) 편할기요/ 분별 웂는(없는) 욕심으루 충당질을 하다보면/ 천리 번민 만리 고통 씻을 날은 아니 오리라.
여보시요 벗님내덜(들) 이 내 한말을 들어보오/ 부귀란 것이 무엇인가/재물 산처럼 쌓아두고 고루거각 높이 짓고/ 산해진미(山海珍味) 전벌리고 미인을 다려(데리고) 논다한들/ 손가락 끄트머리에(끝에) 티눈 하나 들어 있어/ 욱신욱신 쑤셔대면 눈에 들것 하나 웂구/ 자손두어 앙천 불귀 하날(하늘) 우러러 올려볼 때/ 일생지기 생각하구 내 살어온 날 둘러볼 때/ 부끄럽지 아니함이 부귀중에 부귀로다.
공명이란 또 무엇인가/ 이름 슥자(석자) 바로 세워 천년 만년 보내고자/ 허리 세운 고집으루 한평생을 살어갈제 /나물 먹구 물마시구 팔을 굽혀 누운 모양으루다가/ 욕심 웂이(없이) 살어지는 공명지심(公明之心)을 아니나 찾구/ 탐욕한 권력을 쌓아놓구/ 잘난 놈덜을 종으루 부리구 농사꾼덜 홀대하면/ 어느 늬가(누가) 칭송하여 이름 슥자 불러줄까/ 어허 둥둥 내 벗님네 사람속에 사람난다/ 부귀공명 바라거든 청산속에 흐르는 물을/ 가슴속에 흘려들어 번민을 씻어내구/ 욕심자락 풀어에라/ 드는 길이 삼천리라면 나는 길두 삼천리니라.
[현황]
당초의 창자 이강습이 1968년에 사망하여 아들인 이걸재가 1997년부터 소리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전해오고 있다.
[의의와 평가]
판소리 중고제의 본향인 공주시 일원에 성행하였던 단가의 전형을 알 수 있는 소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