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0553 |
---|---|
한자 | 所台- |
영어공식명칭 | Sotae IC |
이칭/별칭 | 소태교차로,소태인터체인지,소태IC,지원교차로,지원IC,지원나들목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백현명 |
준공 시기/일시 | 1995년 1월 15일![]() |
---|---|
전구간 | 소태나들목 -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소태나들목 -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 |
성격 | 나들목 |
길이 | 555.5m[소태나들목 램프-F]|598m[지원고가교]|735m[지원고가교 램프-F]|168.8m[지원고가교 램프-H] |
차선 | 왕복 2차선[소태나들목 램프-F]|왕복 2차선[지원고가교]|상행 1차선[지원고가교 램프-F]|하행 1차선[지원고가교 램프-H] |
폭 | 7.4m[소태나들목 램프-F]|21.2m[지원고가교]|7.3m[지원고가교 램프-F]|10.8m[지원고가교 램프-H] |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에 있는 나들목.
소태나들목은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에 놓여 있는 제2순환로에서 남문로로 연결되는 나들목으로 광주광역시 원도심과 전라남도 화순군 방면으로 진출입이 양방향으로 가능한 교차로이다. 남문로는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9호선과 연결되어 전라남도 동부 지역으로 진출이 가능하다.
소태나들목은 현재 지원나들목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 최초 나들목 이름이 명명될 당시 광주광역시 동구 소태동의 동명을 따서 붙여졌다. 소태동의 행정구역이 축소되면서 나들목이 지원동의 구역에 편입되었고 지원나들목으로 변경되었다.
소태나들목은 소태나들목 램프-F, 지원고가교, 지원고가교 램프-F, 지원고가교 램프-H로 구성되어 있다.
소태나들목 램프-F는 총 연장 510.5m, 교량 연장 45m, 옹벽 연장 510.5m, 총 폭 7.4m, 유효 폭 6.5m, 높이 15m이다. 왕복 2차선이고, 경간 수는 3개, 최대 경간장은 15m이다. 상부구조 형식은 RC슬래브교이고, 하부구조 형식은 T형 교각식이다. 설계하중은 DB-24가 적용되었으며, A등급 나들목이다.
지원고가교는 총 연장 598m, 교량 연장 230m, 옹벽 연장 368m, 총 폭 21.2m, 유효 폭 16m, 높이 4.5m이다. 왕복 4차선이고, 경간 수는 5개, 최대 경간장은 50m이다. 상부구조 형식은 강 상자형교이고, 하부구조 형식은 중력식이다. 설계하중은 DB-24가 적용되었으며, A등급 나들목이다.
지원고가교 램프-F는 총 연장 735m, 교량 연장 50m, 옹벽 연장 685m, 총 폭 7.3m, 유효 폭 5.5m, 높이는 4.5m이다. 상행 1차선이고, 경간 수는 2개이고, 최대 경간장은 25m이다. 상부구조 형식은 강 상자형교이고, 하부구조 형식은 중력식이다. 설계하중은 DB-24가 적용되었으며, A등급 나들목이다.
지원고가교 램프-H는 총 연장 168.8m, 교량 연장 50m, 옹벽 연장 118.8m, 총 폭 10.8m, 유효 폭 9m, 높이는 4.5m이다. 하행 1차선이고, 경간 수는 2개, 최대 경간장은 25m이다. 상부구조 형식은 강 상자형교이고, 하부구조 형식은 중력식이다. 설계하중은 DB-24가 적용되었으며, A등급 나들목이다.
1995년 1월 15일 광주광역시 외곽 전체를 연결하는 제2순환로 소태나들목에서 효덕나들목 구간이 개통되면서 개설되었다.
나들목 이름이 소태나들목에서 지원나들목으로 변경되었다.
소태나들목은 1995년 1월 15일 개통하였고, 광주광역시 소속 광주제2순환도로(주)에서 관리하고 있다. 지원나들목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 제2순환로를 오래 이용한 사람들에게는 여전히 소태나들목으로 더 많이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