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592
한자 龍湖齋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314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효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16년 - 용호재 재건
개축|증축 시기/일시 1966년 - 용호재 1차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2년 - 용호재 2차 중수
현 소재지 용호재 -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314 지도보기
성격 재실
양식 팔작지붕 주심포 양식
정면 칸수 4칸
측면 칸수 2칸
소유자 금성범씨 문중
관리자 금성범씨 문중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에 있는 조선 후기 금성범씨 재실.

[개설]

용호재생용동에 있는 복애(伏厓) 범세동(范世東)을 주벽으로 하는 금성범씨 재실이다. 범세동은 고려 말엽 정충탁절(貞忠卓節)[충성심이 깊고 절조가 굳음]로 이름이 높은 인물이다. 조선 순조 때 범세동범세동의 6세손 범가용(范可容), 학행이 높은 범천배(范天培)와 임진왜란 때 진주대첩에서 순국한 범기생(范起生), 범기봉(范起鳳)을 배향하던 복룡사(伏龍祠)가 세워졌다. 이후 복룡사 터에 세운 제각이다.

[위치]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314에 자리하고 있다.

[변천]

복룡사가 철폐된 뒤 세워진 재실로 1916년에 후손들이 재건하였다. 1966년 1차 중수에 이어 1982년 2차 중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형태]

정면 4칸 측면 1칸 팔작지붕으로 주심포 양식으로 지어졌다. 용호재의 현판은 석촌(石村) 윤용구(尹用求)가 썼다. 기단은 담을 쌓은 콘크리트 기단으로 그 위에 다듬어진 주초를 놓고 평주를 세운 건물이다.

[현황]

용호재 주변으로 생룡마을이 형성되어 있는데 생룡마을금성범씨 집성촌이다. 건물 입구에 대문이 세워져 있으며, 금성범씨 사우 유허비 재각이 재실 뒤에 세워져 있다. 복애 범세동에 대한 사적을 기록한 유허비가 세워져 있다.

[의의와 평가]

용호재금성범씨의 재실로 금성범씨 세력의 위상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지산지리지』(지산향토지리지 발간 추진위원회, 2018)
  • 두산백과(https://www.doopedia.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