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019
한자 風詠亭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풍영정길 21[신창동 852-1]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영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축|증축 시기/일시 1948년 - 풍영정 지붕 수리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2월 29일연표보기 - 풍영정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호 지정
현 소재지 풍영정 - 광주광역시 광산구 풍영정길 21[신창동 852-1]지도보기
원소재지 풍영정 - 광주광역시 광산구 풍영정길 21[신창동 852-1]
성격 누정
양식 골기와 팔작지붕
정면 칸수 4칸
측면 칸수 2칸
소유자 광산김씨 문중
관리자 광산김씨 문중
문화재 지정 번호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호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누정.

[개설]

풍영정광산김씨(光山金氏) 칠계공파 문중의 자료에 의하면 칠계(漆溪) 김언거(金彦据)[1503~1584]가 승문원 판교 시절인 1558년에 지었다고 한다. 송인수(宋麟壽)와 송순(宋純), 그리고 송흠(宋欽)의 시와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이 1548년에 쓴 『김계진 시첩(金季珍詩帖)』의 발문을 살펴보면 풍영정은 이미 1548년 이전에 지어져 있던 것으로 보인다. 풍영정김언거가 여러 벼슬을 거친 뒤 물러나 이곳에서 여러 문인 학자들과 어울리며 생활한 곳이다.

[위치]

1879년, 1924년의『광주읍지』에는 풍영정이 주의 서북쪽 20리에 있다고 전한다. 현재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 선창산(仙滄山)과 극락강(極樂江)이 마주치는 강변의 대지 위, 광주역에서 운남동 방면으로 승용차로는 20분, 광신대교에서 도보로는 5분 거리에 있다.

[변천]

풍영정은 초기에 12채가 있었지만 11채는 임진왜란 당시 화재로 소실되고 풍영정 하나만 남아 있으며, 1948년 김언거의 후손들이 지붕을 수리하였다. 1984년 2월 29일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호로 지정되었다.

[형태]

풍영정은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로 겹처마의 팔작지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강암 기단 위에 주초는 덤벙주초, 기둥은 배흘림 원주기둥을 세웠다.

[현황]

풍영정은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이며, 영산강 8경 중 광산구에서 볼 수 있는 제7경으로 극락강이 보이는 정자인데 강이 줄어들고 주변에 도로가 생겼다.

[의의와 평가]

풍영정은 주인 김언거의 원운(原韻) 이외에도 지지당(知止堂) 송흠(宋欽), 퇴계(退溪) 이황(李滉),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 등 여러 문인이 시를 남기는 등 60여 개에 달하는 현판이 걸려 있어 풍영정이 호남 지방 정자 문화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광주역사문화자원 스토리텔링(gjstory.or.kr)
  • 광주의 정자, 풍영정(https://gotn.tistory.com/786)
  • 호남지방문헌연구소(www.honamculture.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