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046
한자 木-
이칭/별칭 벅수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민간 신앙 유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강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68년연표보기 - 목장승 수습
이전 시기/일시 1968년 - 목장승 이전
문화재 지정 일시 2017년 1월 1일연표보기 - 목장승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 제9호 지정
현 소재지 전남대학교박물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용봉동 300]지도보기
원소재지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단주리
성격 장승
크기(높이,둘레) 270cm[높이]
소유자 전남대학교
관리자 전남대학교
문화재 지정 번호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 제9호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전남대학교박물관에서 보관 중인 조선시대 나무로 만든 장승.

[개설]

1968년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단주리에서 수습되어 전남대학교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목장승이다. 2017년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었다. 전라남도에서는 나무를 깎아 만든 목장승을 '벅수'라고 부르기도 한다.

[위치]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용봉동 300] 전남대학교박물관에 있다.

[형태]

목장승의 모습은 마치 부스스한 사람의 머리 모양처럼 나무뿌리 부분이 장승의 머리로 사용되었다. 장승의 얼굴에서는 크고 동그란 눈과 커다란 코, 날카로운 송곳니가 돋보인다. 수습할 당시부터 땅에 묻혀 있던 부분이 부식되어 있었는데, 이 때문에 장승의 길이가 많이 짧아져 긴 수염이 땅에 닿는다.

[의례]

장승이란 절이나 마을 입구에 세워진 사람 머리 모양의 기둥이다. 마을의 안팎을 구분하는 경계표와 이정표뿐 아니라 외부에서 들어오는 재앙을 막아주는 수호신 역할을 하기도 한다. 목장승과 관련된 특별한 의례는 찾아볼 수 없다.

[현황]

전남대학교박물관 상설전시실 민속실에 전시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나무라는 재료의 특성 때문에 보존되기 어려움에도 외관이 우수한 상태에서 발견되었다. 뿐만 아니라 수습 위치가 명확하다는 점에서도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갖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