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218
한자 蓮坡亭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하백로 29번길 24[매곡동 313-1]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이영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18년연표보기 - 연파정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933년 - 연파정 개축
현 소재지 연파정 - 광주광역시 북구 하백로 29번길 24[매곡동 313-1]지도보기
성격 정자
양식 골기와 팔작지붕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3칸
문화재 지정 번호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 제3호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에 있는 김용학가옥을 구성하는 건물 중 하나로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정자.

[개설]

연파정(蓮坡亭)김용학(金容鶴)의 할아버지 김영덕(金永德)을 기리기 위해 김용학의 아버지인 김희수(金喜洙)가 1918년에 건립하였다.

[위치]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 김용학가옥(金容鶴家屋) 내 주거공간의 마당에서 돌계단을 따라 동산으로 올라가면 있는데, 연파정을 기준으로 전면 좌측에 연못과 하은정(荷隱亭)이 있다.

[변천]

1933년 김용학하은정을 짓는 과정에서 연파정까지 화재로 소실되어, 하은정연파정을 새로 지었다.

[형태]

연파정의 정면에는 이층형 와가로 된 정려각 형태의 조그마한 단칸 출입문이 담장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이 출입문의 밖에 정원 형식의 동산이 자리해 있다. 정교한 도리 석축, 도리기둥의 골기와 팔작지붕으로 정면 3칸, 측면 3칸의 구조로 되어 있다. 사면에 오동나무 덧문을 달아 비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바람을 막았다.

[현황]

현재 내부를 들여다볼 수는 없지만, 100년생의 벚나무와 동백나무에 둘러쌓여 있어 주변의 풍광이 아름답다. 연파정이 위치한 김용학가옥은 살림집과 정자가 조화롭게 배치된 1900년대 초 원림(園林)으로 안채·사랑채·연못·누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연파정에서 지어진 한시가 400수가 넘어 짧은 시간에 많은 시인이 출입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보통 누정에서 제작된 한시는 누정제영(樓亭題詠)이라고 하는데, 역사가 오래되고 유명한 누정일수록 제영이 많다. 연파정은 1918년에 건립되어 역사가 긴 편은 아니나 많은 시문이 제작되어 누정문학에서 또 하나의 특이한 사례로 꼽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