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달구질소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633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옥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6년 8월 18일 - 「달구질 소리」 광주광역시 광산구[지금의 남구] 대촌동 칠석마을에서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 「달구질 소리」 광주직할시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광주시사』 2에 수록
채록지 칠석마을 - 광주광역시 광산구[지금의 남구] 대촌동지도보기
가창권역 칠석마을 - 광주광역시 광산구[지금의 남구] 대촌동지도보기
성격 노동요|의식요
기능 구분 땅을 다질 때 부르는 소리
형식 구분 선후창|2가보격
가창자/시연자 정남진|이인식|이동수|이인석|이인수|김형남

[정의]

광주광역시 지역에서 땅을 다질 때 부르는 소리.

[개설]

집을 짓기 위하여 집터를 닦을 때나 제방을 쌓을 때, 무덤의 봉분을 다질 때 부르는 민요이다.

[채록/수집 상황]

1986년 8월 18일 광산구 대촌동 칠석마을에서 수집한 「달구질소리」가 1993년 광주직할시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광주시사』 2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가창 방식은 선후창이며 2가보격으로 불린다.

[내용]

「달구질소리」

조사 일시: 1986년 8월 18일

조사 장소: 광산구[지금의 남구] 대촌동 칠석마을

앞소리: 정남진[남, 1936년생], 이인식[남, 1927년생]

뒷소리: 이동수[남, 1936년생], 이인석[남, 1918년생], 이인수[남, 1930년생], 김형남[남, 1931년생]

(앞) 어-유-화 달-구질/ (뒷) 어-유-화 달-구질/ (앞) 서에서 드는 잡신/ (뒷) 어-유-화 달-구질/ (앞) 동으로 물리치고/ (뒷) 어-유-화 달-구-질/ (앞) 동에서 드는 잡신/ (뒷) 어-유-화 달-구질/ (앞) 남으로 물리치고/ (뒷) 어-유-화 달-구질/ (앞) 남에서 드난 잡신/ (뒷) 어-유-화 달-구질/ (앞) 서에로 물리치고/ (뒷) 어-유-화 달-구질/ (앞) 서에서 드는 잡신/ (뒷) 어-유-화 달-구질/ (앞) 중앙으로 물리치고 / (뒷) 어-유-화 달-구질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달구는 땅을 다지는 데 쓰는 무거운 돌이나 통나무를 일컫는 말이다. 집터는 땅이 단단해야 하고, 특히 기둥을 세울 부분의 기초는 튼튼해야 하므로 말박기를 한다. 큰 돌을 동아줄로 엮어 여러 사람이 밧줄을 잡고 노랫소리에 맞추어 돌을 들었다가 꽝 하고 내려놓는다. 이 작업은 여러 사람들의 호흡이 맞아야 하고 힘을 합쳐야 하기 때문에 노래와 동작이 일치하게 한다. 묘를 쓸 때는 하관을 마친 후 관 주변의 흙을 단단히 하기 위해 땅을 다질 때나, 봉분을 만든 후 봉분의 흙을 단단하게 하기 위해 달구질을 할 때 「달구질소리」를 부른다.

[현황]

1980년대 이후부터 굴삭기로 땅을 다지면서 「달구질소리」는 더이상 불리지 않는다.

[의의와 평가]

「달구질소리」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집을 짓고, 무덤을 만들 때, 호흡을 맞추고 동작을 일치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노동요이자 의식요였다. 사설은 동서남북과 중앙의 잡귀와 잡신을 몰아내는 내용이어서 민간신앙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