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100058
한자 地形
영어의미역 Togography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광명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병권

[정의]

경기도 광명 지역을 이루는 땅의 생긴 모양이나 형세.

[개설]

지형은 해발 고도에 따라 산지, 구릉지, 평야[하천, 저수지]로 분류할 수 있다. 광명시는 광주산맥의 끝자락인 수리산(修理山)[474.8m]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부터 가학산(駕鶴山)[220.2m]을 비롯하여 서독산(書讀山)[180m], 구름산[雲山][237m], 도덕산(道德山)[183.1m]에 이르는 저산성산맥을 형성하며 남북 방향으로 도시를 동서로 분리하고 있다. 대체로 안양천(安養川) 본류와 그 지류인 목감천(牧甘川) 사이의 낮은 구릉지가 광명시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다. 광명시의 지세를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서 살펴보면 수리산이 조산격(祖山格)이고, 산줄기와 물줄기가 북쪽으로 흘러 내려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형분포]

경기도 광명시의 주 경사면은 동·서 방향으로, 동쪽은 안양천이 흐르고 서쪽은 목감천이 북류하여 한강으로 유입되고 있다.

표고 70m이하가 76%로서 29.273㎢의 면적을 차지하며, 경사면 20% 이하가 전체 면적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토지 이용 현황은 임야 40%, 농경지 27.8%, 대지 16.26%, 하천 4.88%, 기타 7.03%로 가용 면적이 많으나 대부분 개발 제한 구역으로 실가용 면적은 약 7.33㎢에 불과하다.

광명시의 산지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뻗어 있다. 백두산에서 비롯된 이 산줄기는 함경산맥, 낭림산맥, 소백산맥을 거쳐 속리산에서 북서쪽으로 뻗어 내려 수원 북쪽의 광교산(光敎山)[582m]~수리산~수암산(秀岩山)[395m}을 지나 광명시에서 서독산~구름산~도덕산을 차례로 일으켰다가 최북단인 철산1동에서 끝을 맺고 있다.

광명시의 남단 서독산에서 북쪽으로 뻗은 산줄기는 안양천목감천의 분수령을 이루며, 구름산도덕산을 일으켰다가 두 하천의 합류점에서 산줄기로서의 역할을 마친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하천]

광명시의 하천은 모두 한강의 제1지류인 안양천으로 흘러든다. 대체로 광명시는 안양천과 그 지류인 목감천의 흐름이 동과 서쪽에서 타 지역과 경계선을 형성하고 있다. 다만 일부 지역에서는 안양천 서쪽이 서울특별시 금천구이거나, 안양천 건너 동쪽이 광명시인 곳도 있다. 이는 본래 하천을 따라 만들어진 행정 구역 경계와 하천제방 정비 사업으로 변화된 현재의 하천이 불일치하기 때문이다.

광명시의 하계(河系)는 남북으로 뻗은 산줄기를 중심으로 동쪽으로 안양천 본류로 흘러드는 안양천의 제1지류와 서쪽 목감천으로 흘러드는 안양천의 제2지류로 구분할 수 있다.

[저수지]

광명시에는 안터저수지, 일직저수지, 자경리저수지, 동창골저수지, 노온사저수지 등 5개소의 저수지가 있었으나, 자경리저수지는 광명역세권 개발에 따른 택지 개발 사업으로 인해 2008년경 사라졌다. 안터저수지는 금개구리의 서식처로 알려지면서 새롭게 조명되어 2004년 경기도로부터 생태계 보전 지구로 지정되었으며, 2009년에 안터저수지 근린공원 생태 학습장이 조성되어 운영 중에 있다. 나머지 3개의 저수지는 본연의 목적인 농업용수의 공급 외에 낚시터 구실도 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