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들소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201322
한자 咸陽-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경상남도 함양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한양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1년 - 「함양 들소리」, 제36회 경상남도 민속예술제에서 동상 수상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2년 - 함양 걸궁소리, 『함양군사』에 수록

[정의]

경상남도 함양 지역에서 전해오는 여성들의 일노래를 묶어 새롭게 창조한 공연 기획물.

[연원 및 변천]

「함양 들소리」는 경상남도 함양 지역에서 구전되는 여성들의 일노래를 재창조한 작품이다. 구전 민요 가운데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계절의 변화에 따른 여성들의 일노래를 선별하여 한 편의 작품으로 구성하였다. 여성들의 들일은 계절에 따라 바뀌고, 일을 하면서 불렀던 노래에는 여성들의 삶에 대한 애환이 담겨 있다. 「함양 들소리」에 선별된 개별 구전 민요의 역사는 오래되었으나, 이 들소리를 모아 공연 기획물로 만든 것은 2006년이다. 경상남도 함양군과 함양군민속예술보존회에서는 함양의 민요 조사를 실시하고, 현재 전승되고 있는 민요의 토착성과 예술성을 고려하여 「함양 들소리」라는 공연 기획물을 탄생시킨 것이다.

「함양 들소리」의 전승 주체는 함양군민속예술보존회이다. 함양군민속예술보존회는 함양군이 격년제로 개최하고 있는 경남민속예술축제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열정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012년 4월 20일에 창립 총회를 열었다. 함양군민속예술보존회는 함양지역의 민속예술의 명맥을 잇기 위해 구성되었으며, 현재 회원은 60여 명이다. 함양군민속예술보존회는 함양군의 다양한 민속자료의 발굴과 고증, 보존과 체계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회원들은 ‘함양 들소리’ 공연에 함께하고 있으며, 때에 따라 공연에 참석하는 수는 달라지기도 한다.

들소리의 대표적인 노래는 질꼬냉이, 동풍가, 함양 걸궁소리이다. 2011년에 거창군에서 개최한 제36회 경상남도 민속예술제에서 동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2012년에는 함양의 들소리 조사를 다시 거쳐 내용 검수를 하였으며, 함양 고유의 특색을 살려내기 위해 나물 노래, 밭매기 노래, 길쌈 노래 등을 고증하여 음악성을 되살렸다. 현재 「함양 들소리」는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의 이점수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수되고 있으며, 그 외 구연 전승자들도 다수 있다. 「함양 들소리」는 들일을 하는 여성의 노동과 노동의 고됨을 달래기 위한 노래라는 점에서 현재적으로도 의미가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공연 방식]

「함양 들소리」는 여성들이 산과 들에서 노동을 하며 불렀던 민요로 구성되어 있다. 공연에는 60명에서 70명 정도가 참여하며, 공연에 참가하는 사람들 또한 대부분 여성으로 구성된다.

공연의 내용은 4계절에 따라 이어진다. 봄에는 들판, 여름은 낮에는 밭, 밤에는 집 안, 가을에는 단풍놀이, 겨울에는 정초로 시간·공간적 배경을 이룬다. 노래와 함께 각 장의 구성을 위해 연희도 이루어지면서 재미를 더한다. 봄에는 나물하기 소리, 여름낮에는 밭매기 소리, 밤에는 길쌈 소리[달거리 노래, 물레 소리]가 펼쳐진다. 가을에는 질꼬냉이, 동풍가가 들어가며 겨울에는 함양 걸궁소리가 이어진다. 공연은 여성들이 서로 노래를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진행되며, 장르마다 약 5분씩 총 35~40분가량 공연이 이루어진다.

[내용]

공연은 전 단원이 올라가 정월 대보름날 한 해 풍년을 기원하는 걸궁소리를 부르면서 시작된다. 이어 전 인원이 퇴장한 후 각 장르마다 12~15명의 인원이 재투입되면서 판이 점점 커지는데, 계절의 변화에 따라 작품이 전개된다. 봄 들판에서 나물하기 소리를 하며 즐거운 봄을 표현한다. 여름낮에는 밭에서 김매기를 하며 시집살이의 애환과 휴식의 단맛을, 밤에는 집 안에서 길쌈과 물레질 등을 하며 삶의 고단함을 달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가을에는 가을걷이를 끝내고 그 기쁨과 휴식을 즐기기 위해 용추폭포로 단풍놀이를 가면서 질꼬냉이와 동풍가를 부르는 내용이다. 겨울은 새해를 맞으며 재액초복을 빌며 걸궁을 하며 끝내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노래의 연희와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함양 걸궁소리는 사계절 중 겨울에 해당되며, 일 년 농사일을 앞두고 행하는 의식이다. 60~70명의 단원들이 모두 참여한 가운데 정월 대보름에 달집을 태우고, 풍물놀이로 흥을 돋운다. 이때 단원들은 둥근 원을 그린 후 액운을 물리치고 올해 풍년을 기원하는 의식과 함께 걸궁소리로 한바탕 마당극이 연출된다. 경상남도 함양 지역에 전해오는 함양 걸궁소리[『함양군사』 수록, 2012]는 다음과 같다.

함양 걸궁 상소쟁이 안의 거창 걸궁가세

단자 안에 입는 천 물명주에 다홍치마

말끔하게 차려입고 자주고름 초록 저고리

율리코를 뺏아 입고 맵시 좋고 인물 좋다.

함양 걸굴 상소쟁이 삼심이라 명목 걸어

버선수는 넘겨 신고 윳다리밑 걸궁터에

상수쟁이 칠이바라 물명주에 바지저고리

오돌인데 눌어입고 한산모시 진이변만

코크이로 맺어 입고

함양 걸궁 상소쟁이 치리봐라 치리봐라

한가닥은 붉은 댕기 어리 치리 볼것트면

걸제절로 이리저리 주리치고

머리치리 볼 것트면 선대자라 살불가면

히히르어 잘도 쏘네 손치리를 볼것트면

한 손에는 매구 들고 한 손에는 채를 들고

나비 같이 놀던 상수쟁이 걸궁패로 날렸구나.

상수쟁이 떠난 들어 꽃인들이 병들었네

나물하기 소리는 봄을 맞아 들일을 나가는 여성의 일상을 그린다. 무대는 들판 위에 봄을 연상하는 개나리, 진달래 등의 꽃 조형물과 봄나물 등을 조성한다. 여성 12명이 나물을 캐면서 한 사람이 먼저 소리를 선창하면, 나머지 인원이 받으면서 후렴을 잇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밭매기 소리는 여름낮에 여성들이 밭에 나가 김매기를 하면서 시집살이를 한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밭고랑을 만들어 고추 등의 농작물을 소품으로 하는 조형물이 등장한다. 이때 15명의 여성이 등장해 밭을 매면서 노래를 부른다. 그 가운데 새참이 들어오면 김매기를 중단하고 일부의 단원은 퇴장한다. 고령자 몇 사람이 새참을 먹으면서 노래를 부르게 된다. 아낙들이 집안일에서 잠시 벗어나 약간의 휴식을 갖는 장면도 넣어 실제성을 더하고 있다.

길쌈 소리는 달거리 노래와 물레 소리로 이어진다. 이땐 베틀과 물레가 소품으로 등장한다. 낮에 밭일을 마치고 집에 돌아온 아낙들이 밤늦도록 달을 벗 삼아 길쌈과 물레질을 하며 삶의 고단함을 노래로 메기고 받으며 풀어낸다.

질꼬냉이는 가을 수확을 마친 여성들이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용추계곡으로 단풍놀이를 떠나며 부르는 노래이다. 용추계곡으로 향하는 꾸불꾸불 고갯길을 넘어가는 장단을 표현했다. 나물하기 소리·밭매기 소리·길쌈 소리는 신세한탄이 많은 반면, 질꼬냉이는 그동안 밭일의 노고를 털고 즐겁게 놀아보자는 성격을 띤다. 질꼬내기 노래는 『함양군사』의 민요 부분에는 ‘질굿내기’로 수록되어 있다.

오르랑 내리랑 잔기침 소리는

자다가 들어도 우리 임소리라

얼시구 갔으면 갔지 제가 설마나 갈쏘냐

용추폭포야 네 잘 있거라

명년 춘삼월 또다시 만나자

얼시구 갔으면 갔지 제가 설마나 갈쏘냐

님의 생각을 안 할려 해도

저달이 밝으니 저절로 나노라

얼시구 갔으면 갔지 제가 설마나 갈쏘냐

오동추야 달이 밝은데

님의 생각이 절로 나노라

춥나 덥나 내품에 안겨라

벨것이 없거든 내 팔을 베거라

얼시구 갔으면 갔지 제가 설마나 갈쏘냐

노세노세 젊어서 노세

늙고 병들면 못노나니라

위의 질굿내기가 끝나면 동풍가로 이어지는데, 동풍가는 용추계곡에 도착해 한바탕 놀이를 펼치는 노랫가락이다. 경쾌한 리듬과 선율이 특징적이다. 동풍가가 끝나면 다시 겨울이 돌아와 함양 걸궁소리를 부르며 공연이 끝난다.

[특징]

함양 ‘들소리’는 여성들의 노동과 관련된 소재를 중심으로 밭일, 집안일로 인해 고된 삶을 살아가는 여성들의 애환을 담고 있다. 연희를 벌이는 가장자들 또한 여성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밭매기, 나물하기, 김쌈과 물레질, 베 짜기 등 여성의 노동요가 더욱 실감나게 들린다.

「함양 들소리」는 과거 농경사회를 배경으로 여성의 일노래가 주축을 이루고 있으며, 계절별로 한 해 농사일을 동적으로 표현하였다. 이에 걸맞게 출연진의 복장들과 각종 농기구 등의 소품들이 시각적 공간적으로 짜임새 있게 배치되어 있다. 경상남도 함양 지역 민요에 대한 특성을 정리한 『함양군민신문』에서는 함양민요는 전국적인 유사성과 지역적 독자성을 띠고 있는데, 선율은 지역적 인접성에 영향을 받아 경상도 메나토리와 전라도 지방의 육자배기토리, 조선 후기 경토리가 혼재하고 있으며 대체로 타령조의 노래 선율이 지배적이라고 하였다. 또 경상남도 함양군의 북쪽 지역인 안의면은 메나토리가 나타나는 반면, 남쪽 지역인 마천면 등지는 육자배기 선율을 띠고 있다고 하였다. 특히 민요 중 ‘질꼬냉이’와 ‘함양 걸궁소리’가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안의면에서 전승되는 ‘동풍가’와 ‘질꼬냉이’는 경토리 창법으로 생기가 있고 선율의 변화가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어 기존의 민요와는 구별된 음악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