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0927
한자 巫俗信仰
영어음역 musok sinang
영어의미역 shamanism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집필자 최해열

[정의]

무당(巫堂)을 중심으로 하여 민간에서 전승되고 있는 풍속이나 신앙.

[개설]

민간의 신앙은 미신타파라는 계몽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전국 각처에 두루 분포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진 것이 무속이다. 무속은 살아있는 종교로서 민간에 깊숙하게 뿌리박고 있으며, 우리의 종교, 사상, 역사, 문화, 음악, 연극 등과도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무당의 역할]

잡귀를 쫓음에 있어서 무당은 신과 인간의 매개체가 된다. 무당은 신들린 상태에서 신의 흉내를 내어 환자의 잘못을 캐내고, 주문을 외워 잡귀가 물러나게 한다. 이때 굿의 주관자는 손을 비비며 잘못을 빌고 우환이 없어지기를 함께 기원한다.

[굿의 종류]

진주지역에서 행해지는 굿으로는 재수굿과 우환굿을 들 수 있다.

재수굿(안택굿)은 1월이나 10월 등 연말연시의 농한기에 행하는 경우가 많다. 재수굿을 행할 경우 손 없는 날을 택하여 인근의 무당을 초빙한다. 집안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잡인의 출입을 막는 금줄을 치며, 소금 등을 뿌려 정성을 드리는데, 택일한 날에 초청되어 온 무당은 온 집안을 돌면서 재액을 물리친다고 하여 소금이나 정화수를 뿌린다.

저녁이 되면 마당, 큰방, 부엌 등으로 옮겨 가면서 주문을 외우고 꽹과리, 징, 북 등을 두드리면서 굿을 행한다. 굿은 밤새도록 계속되기도 하고, 심하면 3일 동안 계속되는 경우도 있다. 주로 삼신(三神)과 조왕(부뚜막신:부엌을 맡아 모든 길흉을 판단하는 신)에게 빌어, 재액과 질병을 쫓고 집안의 평안을 기원한다.

우환굿은 병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지는 굿으로 병굿이라고도 한다. 가정에 우환이 생기면 용하다는 점쟁이를 찾아가 그 원인을 묻고 해결책을 구한다. 점쟁이는 잡귀가 붙어 탈이 났으니 굿을 하여 치료하기를 권한다. 이렇게 하여 우환굿이 시작되는데, 무당은 환자와 그 가정의 과거를 캐묻고 우환이 생기기 전후의 외부와의 관계나 환자의 병세 및 신앙, 가족의 종교나 믿음 등을 수집하여 병의 원인을 밝힌다. 그 결과 잡귀가 붙어 우환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굿을 하거나 주술적 의례를 행하여 환자의 치료를 시도한다. 굿의 절차는 재수굿과 비슷하다.

[기타 무속신앙]

집안에 우환이 생겼을 때 굿의 방법 이외에도 소극적인 무속적 치료방법이 있다. 객귀물림과 손비빔 등이 그것이다.

‘객귀물림’은 감기몸살이나 놀람 등의 사소한 질병에 걸렸을 때, 환자를 바깥쪽으로 눕혀 놓고, 바가지에 쌀밥이나 조밥, 된장 등을 물과 함께 섞어서 부엌칼을 담갔다가 그 칼로 환자의 머리를 찌르는 흉내를 내면서 ‘에이, 에이, 잡귀야 물러가라’하면서 외치는 방법이다.

이렇게 몇 번 외치고 나서는 바가지의 물밥을 골목에 뿌리면서 칼을 골목에 던져 그 칼끝이 밖으로 향하면 귀신이 떨어져 나간 것으로 간주한다. 만약 칼끝이 밖으로 향하지 않으면 반복해서 칼끝이 밖으로 나가게 한다. 보통 가정주부가 행하기도 하고 이웃의 나이 많은 노파를 모셔다가 행하기도 한다.

‘손비빔’은 굿을 할 여유가 없을 때 간단히 찬물을 떠놓고 가정주부가 정성을 드리는 것을 말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점쟁이를 불러 손비빔을 하기도 하는데, 일반 가정에서도 흔히 행하던 낯익은 형태의 신앙이다.

[현황]

진주지역에서 이러한 무속신앙은 생활방식이 변화와 종교적인 이유로 인하여 점차 사라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