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1130
한자 佛敎
영어음역 Bulgyo
영어의미역 Buddhism
분야 종교/불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집필자 손병욱

[정의]

현실의 고통과 번뇌에서 벗어나 부처가 되는 것을 궁극적 이상으로 삼는 종교.

[한국의 불교]

(1) 삼국시대의 불교 : 삼국 중 불교를 제일 먼저 수용한 나라는 고구려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372년(소수림왕 2) 6월에 전진(前秦) 왕 부견(苻堅)이 사신과 중 순도(順道)를 파견하여 불상과 경문을 보내왔다고 하였다. 『삼국유사』에도 이와 유사한 내용이 있다. 이때 도입한 고구려불교의 특징은 호국호왕적(護國護王的)인 북방불교였다. 백제의 경우는 직접 중국의 남조로부터 불교를 도입하였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인도 중 마라난타(摩羅難陀)가 384년(침류왕 원년)에 중국 동진(東晋)으로부터 불교를 전래하였다고 한다. 이때 수용된 불교는 남방불교로, 이는 호국호왕적인 성격이 약한 대신 개인구제의 성격이 강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고구려나 신라가 수용한 북방불교와는 대조적이다. 신라의 경우, 삼국 중 불교의 도입이 가장 늦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눌지왕[재위 417~458]대에 묵호자(墨胡子)가 고구려로부터 신라에 불교를 가져왔다고 한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전진에서 온 아도가 고구려를 거쳐서 신라에 온 것은 눌지왕대가 맞다고 하였다. 그러다가 불교가 정식으로 공인된 것은 528년(법흥왕 15)이었다. 여기서 신라 불교가 고구려를 거쳐서 수용되었다는 것은 그것이 호국호왕적인 북방불교로서, 백제불교와는 그 성격이 달랐음을 말해준다.

(2) 통일신라기의 불교 : 통일신라의 불교는 삼국의 불교 중 신라의 불교적 전통을 이은 것이지만, 신라의 불교와는 그 성격이 많이 다르다. 삼국통일기의 원효(元曉)의상(義湘) 중에서 도당유학파인 의상[625~702] 계열의 화엄불교가 득세하여 불교계의 주류를 형성하면서 이 시기의 신라불교는 순수불교 특히 교종불교의 색채를 강하게 띠게 되었다. 그러다가 통일신라 후반에 중국으로부터 선종(禪宗)이 들어와서 선문구산(禪門九山)이 생긴 이후 선종의 세가 확대되어 이후 교종과 선종이 양립하는 형세를 띠게 되었다. 선종은 개인의 참선수행을 매우 중요시하는 종파이므로, 수행을 위한 적합한 장소로 세속과 절연된 깊은 산 속을 선호하게 되었고, 이후부터 주로 선종계열의 사찰은 산 속의 이른바 명당에 자리 잡게 되었다.

(3) 고려시대의 불교 : 고려 태조 왕건은 스스로 선종과 결합된 양택풍수(陽宅風水)를 혹신하였으므로 선종을 매우 중시하였다. 그리하여 명당터에 많은 사찰을 건립함은 물론, 풍수사상에 입각하여 이른바 많은 비보사찰(裨補寺刹)을 건립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임금이 된 이후,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선종보다는 교종이 더 중요함을 자각하고, 통일신라 이래의 화엄종이 왕권 강화를 위한 논리를 제공하는 데 유리하다고 판단하여 적극적으로 지원하였으며, 이에 따라 차츰 교종이 선종보다 우위에 서게 되었다. 고려는 삼국에 이어서 불교를 국교로 삼아서 적극 양성하였으므로 많은 인재들이 스님이 되었다. 이 가운데 특기할 만한 인물이 문종의 왕자였던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1055~1101]이다. 그는 원효의 화쟁회통사상(和諍會通思想)을 내세워서 화엄종의 입장에서 교종 각파를 통일하였으나, 화엄종으로는 선종을 아우를 수 없음을 자각하고 천태종(天台宗)을 창시하였다. 그리하여 교관겸수(敎觀兼修)를 주창하였는데, 이는 교종의 입장에서 선종을 아우르자는 것이다. 그러면서 왕권강화를 위한 논리도 제공해야 했으므로 천태종을 택한 것이다. 고려의 불교는 1170년(의종 24)에 일어난 무신란(武臣亂)을 계기로 그 성격이 바뀌는데, 이때부터 선종이 주류가 되고 교종이 부차적인 위치에 놓이게 되는 변화였다. 이는 왕권의 약화와도 유관하고 또 당시의 집권세력인 무신들이 고도의 문자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는 교종보다는 단순명료한 수행방법을 지닌 선종을 선호한 것과도 유관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선종 우위의 고려 불교를 대표하는 인물이 바로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1158~1210]이었다. 그는 돈오점수(頓悟漸修)를 내세워 선종을 바탕으로 교종을 아우르려고 하였다. 돈오는 교종 특히 『화엄경』에 입각한 깨달음을 말하며, 점수는 선불교적 참선을 하는 것을 가리킨다. 보조국사 이후 고려 불교는 선종이 우세를 이루다가 원나라 지배기에 들어서면서 귀족불교화 되어 온갖 모순을 배태한 채 차츰 뜻있는 식자층으로부터 비판의 대상이 되고 말았다.

(4) 조선시대의 불교 : 조선조는 극심한 불교탄압의 시기였다. 그것은 조선조가 통치이념으로 수용한 성리학이 본래부터 배불(排佛)의 의도를 갖고 배태되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조선조 건국의 사상적·제도적인 토대를 마련한 삼봉 정도전(鄭道傳)[1337~1398]이 쓴 『불씨잡변(佛氏雜辨)』은 가장 대표적인 배불의 논리를 담은 저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스님들은 신분이 팔반사천(八般私賤)에 속할 정도로 천시되었고, 심지어 도성 출입이 허락되지 않을 정도였다. 이에 불교계는 유불회통론(儒佛會通論)을 주창하여 불교가 유교와 교리상 다른 것이 아님을 강조하여 유교의 탄압을 피하려고 시도하였다. 태종세종대에 주로 활동한 기화(己和)[1376~1433]가 그 대표적인 인물이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선조 불교는 교종보다 선종의 전통이 강하였으며, 극심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조계종(曹溪宗)을 중심으로 그 명맥을 유지하면서 많은 도승들을 배출하였다.

(5) 근현대의 불교 : 일제강점기에 들어와서는 일본의 대처승제도가 도입되어 전통적인 청정 비구승제도를 위협하였으나 광복 후 불교계의 정화불사(淨化佛事)에 힘입어 비구승의 전통을 되찾아서 계승하는 저력을 과시하였다. 제도적으로는 중앙에 총무원을 두고 각 도 단위로 본사를 두어 그에 소속된 말사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한편 도제 양성을 위한 육영기관의 설립이 활발하여 능인·해동·금정·명성·동대부고 등 여러 중·고등학교가 설립되었고, 대학으로는 종립 동국대학교와 중앙승가학교 등이 운영되고 있다.현재 조계종의 사찰수는 1,700개소, 스님의 수는 13,000여명, 신도수는 1천만 명을 넘어선 지 오래되었다.월남전 이후 군승제도가 도입되어 군법사들이 활동하기 시작하였고, 경승의 활동도 괄목할 만하다. 동국대학교 역경원에서는 해인사 팔만대장경의 영인본을 1978년에 완간한 바 있고, 한글 번역 대장경 또한 연차적으로 출판되고 있어서 불교대중화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또 1989년 11월에는 한국 역대 고승들의 저술을 한데 모아서 엮은 『한국불교전서』 10권이 간행되었다.1980년대 이후부터 해외포교가 활발해져 미주지역에 60여개, 여타 세계 다른 지역에도 포교당이 많이 건립되었으며, 1990년 1월에는 불교방송국이 개원되어 불교현대화의 획기적인 계기가 마련되었다.

[진주의 불교]

진주지역에 불교가 전래되기 시작한 것은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경 부터였다. 신라 경덕왕[재위 742~765] 때 왕을 위하여 지리산에 단속사(斷俗寺)를 세웠고, 840년(문성왕 2)에는 진감선사(眞鑑禪師) 혜소(慧昭)가 지리산 화개곡에 쌍계사(雙磎寺)를 중창하였으며, 879년(헌강왕 5)에는 도선국사(道詵國師)월아산(月牙山) 아래에 청곡사(靑谷寺)를 세웠는데, 이것이 진주지역에 세워진 신라시대의 사찰이다.

고려시대에는 중기 이래로 촉석루가 있는 진주성 경내에 용두사(龍頭寺)가 있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합천군 누정조에 의하면, 하륜(河崙)「촉석루기」에 이 절이 나타나고 있다.

조선조에 들어와 태종 때 숭유억불정책의 일환으로 종전의 11개 불교 종파를 7개 종으로 강제 통폐합하였고, 그 중심사찰 242개소 이외의 절은 모두 폐쇄시켰다. 세종은 7종으로 통합된 종파를 다시 선·교 양종으로 통합시킨 후 양종을 합쳐서 36개 사원만을 남기고 그 밖의 것은 모두 폐지해버렸다. 이후 세종 중기에서 세조에 이르기까지는 배불(排佛)의 기세가 누그러지고 다시금 융성의 조짐을 보였으나 성종 이후 연산군중종의 시대를 거치면서 배불의 기세가 다시금 맹위를 떨쳤다. 더욱이 중종은 승과마저 완전히 폐지하고 1538년(중종 33))9월에는 『동국여지승람』에 나타나 있는 사찰 이외에는 모두 헐어버렸다. 이때 용두사도 헐린 것으로 추정된다. 뒤에 명종[재위 1545~1567] 때 모후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호불 의지에 의하여 다시금 승과가 부활되면서 많은 인재들이 배출되었다. 서산대사(西山大師) 휴정(休靜)사명당(泗溟堂) 유정(惟政) 같은 이들은 승과 출신으로서 임진왜란 때 의승군을 조직하여 국난 극복의 선두에 섰는데, 진주에서도 서산의 문인인 중관대사(中觀大師) 해안(海眼)이 크게 활약하였다. 당시 서산대사와 그의 문인으로서 임진왜란 때 국난 극복에 앞장섰던 몇몇 스님들은 반조선적인 비밀결사체 당취(黨聚)조직의 일원이자 신불승(神佛僧)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조 당시에 당취의 본거지는 전국적으로 두 군데가 있었는데, 바로 지리산과 금강산이었다. 임진왜란 이후 스님들에 대한 편견은 많이 사라졌지만 신분상의 변화는 별로 없었다. 그나마 과거의 전통을 이어온 것은 민족의 미래를 위해서 불행 중 다행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광복 이후 불교계에서는 전국적으로 청정비구의 전통을 되찾으려는 정화불사운동이 드세게 일어났는데, 이때 정화불사에 앞장선 두 명의 걸출한 선승이 있었다. 그 두 분은 조계종 종정을 역임한 바 있는 이 고장 진주 출신 청담(靑潭)[1902~1971) 스님과 이웃 단성 출신 성철(性徹)[1912~1993] 스님이었다.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는 이 고장 특유의 기질이 이 두 분의 걸출한 선승을 통해서 유감없이 발현됨으로써 광복 이후 한국 불교계의 정화에 큰 기여를 하게 된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