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601057
한자 準香山城
영어음역 Junhyangsanseong
영어의미역 Junhyangsanseong Fortress
이칭/별칭 양지 산성,음지 산성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준향리 준향마을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김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성곽
양식 산성|석성
건립시기/연도 삼국시대
소재지 주소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면 준향리 준향마을 지도보기

[정의]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면 준향리 준향마을에 있는 삼국시대의 산성.

[위치]

유적은 준향리 준향마을 서쪽 산봉우리에 위치한다. 유적은 ‘양지 산성’과 ‘음지 산성’으로 불리는 2개소의 산정식 석성을 가리킨다. 양지 산성은 백두대간의 산줄기 정상부에 해당하는 운봉면 준향리이백면 과립리의 경계에 위치하며, 입망치의 북쪽에 자리한다.

음지 산성은 운봉면 준향리이백면 양가리의 경계에 위치하며, 양지 산성에서 북쪽으로 약 550m 떨어진 곳에 자리한다. 백두대간 산줄기의 정상부에 해당되며, 이곳에서는 백두대간 서쪽의 정황이 한눈에 조망된다.

[형태]

양지 산성은 거의 수직에 가깝도록 절벽을 이루는 서쪽을 제외한 다른 부분을 남북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를 따라 성벽을 쌓았다. 산봉우리에는 망대와 같은 석축 시설이 배치되어 있으며, 외형상으로는 연주형 또는 차단형과 유사한 특징이 있다.

성의 평면 형태는 동쪽으로 상당히 돌출된 ‘L’자형이다. 성벽은 대부분 붕괴되고 남쪽과 북쪽에 일부가 남아 있다. 성벽의 축조 방식은 자연 경사면을 그대로 살려 성의 외벽만 쌓은 내탁식이다. 벽석은 두께가 20㎝ 내외이며, 외면을 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치석하였다.

성의 동쪽에는 망대로 추정되는 방형의 축대 시설이 있다. 그 규모는 너비 3m, 높이 2m 내외이다. 유물은 성벽이 붕괴된 남쪽에서 기벽이 두껍고 표면에 승석문이 타날된 회청색 경질 토기편이 수습되었다.

음지 산성은 거의 수직에 가까운 서쪽을 제외하고 산봉우리를 전체를 성벽으로 한 바퀴 돌려 쌓았다. 성벽은 경사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모두 무너져 내렸다. 성의 평면 형태는 동쪽이 볼록하게 튀어 나온 반원형이다. 산봉우리의 9부 능선에 자연 경사면을 그대로 살려 성의 외벽만 축조되었다.

성의 남동쪽에는 건물지로 추정되는 계단식 대지와 장방형 유구가 있다. 장방형 유구는 우물지 내지 저장공으로 추정된다. 유물은 성의 남동쪽에 있는 장방형 유구에서 기벽이 두껍고 문양이 시문되지 않은 회청색 경질 토기편이 출토되었다.

[의의와 평가]

준향산성은 동학농민운동 당시에 쌓은 것으로 전한다. 그러나 축조 방식과 출토 유물, 그리고 주변의 유적 등을 고려해 볼 때, 삼국시대 축조된 성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