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601462 |
---|---|
한자 | 科笠里石佛立像 |
영어음역 | Gwarip-ri Seokbul Ipsang |
영어의미역 | Stone Standing Buddha in Gwarip-ri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 520-1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
집필자 | 전경미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7년 4월 28일 - 과립리석불입상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8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과립리석불입상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
성격 | 불상 |
제작시기/일시 | 통일신라 |
재질 | 석조 |
높이 | 전체 높이 4.5m[머리 높이 1m] |
소장처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 |
소장처 주소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 520-1 |
소유자 | 남원시 |
문화재 지정 번호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
[정의]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과립리에 있는 불상.
[개설]
조선 정종 때 이곳에 절이 세워졌는데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다고 전한다. 이때 불상의 머리 부분과 몸체 대좌 부분이 훼손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근래에 들어와 주변에서 두 조각으로 갈라진 과립리석불입상의 몸체를 찾아 세웠다. 1987년 4월 28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과립리석불입상은 넓적한 얼굴에 육계가 표현되었고, 머리는 소발(素髮)이다. 눈은 지긋하게 표현되었으며 귀는 턱까지 내려와 있다. 양 어깨에 넓게 걸쳐진 우드야나식 통견(通肩)의 대의(大衣)는 가슴까지 4조선의 주름과 그 밑으로 3조선의 주름을 표현하여 경계 지었다.
허리 부분에서 새롭게 긴 타원형의 옷주름이 시작되어 양 다리에 표현되어 발목 부분에서 그치고 군의가 그 밑으로 표현되었다. 발의 표현은 마멸이 심하여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옷자락의 형식으로 보아 두 발을 모아 정중하게 서 있는 모습이다.
좌대(座臺)는 복련(覆蓮) 대좌로 원형이며 대좌의 윗부분과 연꽃을 조각한 대좌의 몸체 부분에는 둥그렇게 1단의 층급 받침을 두었다. 손은 결실되어 수인이 정확하지 않지만 현재의 모습으로 볼 때 설법인(說法印)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징]
과립리석불입상은 통일 신라의 백율사 약사여래 입상처럼 배를 한껏 내밀어 당당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다리 부분에 크게 묘사된 타원형 옷주름의 도식화는 거창 농산리 석불 입상[보물 제1436호]이나 경상남도 하동의 정서리 석조 여래 입상[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45호], 담양 분향리 석불 입상[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144호]과 친연성을 지니고 있다. 다만 어깨에 넓게 퍼지는 U자형 옷주름은 직사각형에 가까운 얼굴과 더불어 크고 넓은 느낌을 준다.
[의의와 평가]
남원 지역에는 고려 시대의 불상이 많이 전하고 있는데, 남원 신계리 마애 여래 좌상과 함께 통일 신라 후기의 작품으로 남원을 중심으로 한 경상남도 하동과 전라남도 담양 지역의 조각 양식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다만 주변이 민가에 의해 둘러져 있어 경관적인 배경을 정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