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601492 |
---|---|
한자 | 大福寺銅鐘 |
영어음역 | Daeboksa Dongjong |
영어의미역 | Bronze Bell of Daeboksa Temple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전라북도 남원시 왕정동 283[대복사길 61]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김정희 |
문화재 지정 일시 | 1973년 6월 23일 - 대복사동종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4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대복사동종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
성격 | 범종 |
제작시기/일시 | 1635년 |
제작지역 | 남원 |
재질 | 동 |
높이 | 99㎝ |
너비 | 58㎝ |
소장처 | 대복사 |
소장처 주소 | 전라북도 남원시 왕정동 283[대복사길 61] |
소유자 | 대복사 |
문화재 지정 번호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
[정의]
전라북도 남원시 왕정동 대복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중기의 범종.
[개설]
대복사동종은 1635년(인조 13)에 조성되었다. 1973년 6월 23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4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대복사동종은 전체 높이 99㎝, 입구의 지름이 58㎝에 달하는 중종(中鐘)으로, 쌍뉴(雙紐)에 상대(上帶)와 하대(下帶), 유곽(乳廓)과 유두(乳頭) 등을 갖추고 있다. 천판 위에는 두 마리의 용이 고리를 이루고 있으며, 천판과 상대 사이에는 입상(立像)의 화문대(花文帶)가 둘러져 있다. 상대 바로 아래에는 네 곳에 유곽을 두었으며, 각 유곽 안에는 연꽃 모양의 유두를 9개씩 배치하였다.
유곽 둘레에는 연당초문(蓮唐草文)이 유려하게 조각되었는데, 유곽 좌우에는 범자문(梵字文)을 각각 2단으로 배치하였으며 유곽과 유곽 사이에는 꽃을 들고 있는 보살입상(菩薩立像)을 새겼다.
유곽 아래에는 “宗圖盤岩 天道彌隆 惠日長明 法周沙界(종도반암 천도미륭혜일장명법주사계)"라는 16자가 2행으로 새겨진 위패형을 각각 하나씩 두었고, 종의 하단에는 넓은 띠 모양으로 주종기(鑄鐘記)를 양각하였다. 하대는 구연부와 맞붙어 있는데 내부에는 보상연화당초문(寶相蓮花唐草文)으로 장식하였다.
[특징]
대복사동종은 천판과 상대가 만나는 곳에 고려 후기 범종에서 주로 나타나는 입상화문대(立狀花文帶)라고 하는 꽃잎 모양을 세워 장식하였는데, 총 55개의 꽃잎으로 이루어진 화문대에는 각각 소형의 불좌상(佛坐像)을 한 구씩 조각한 매우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대복사동종은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도 양호할 뿐 아니라 상대와 하대, 유곽과 유두, 입상화문대 등 전통 종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는 한편, 쌍뉴와 범자, 위패형 명문대 등 중국 범종의 양식도 보여주고 있어 조선 중기 범종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