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방세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602425
한자 帶方世稿
영어음역 Daebangsego
영어의미역 Record of Daebang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전라북도 남원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손앵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문집 합철본
관련인물 최상중(崔尙重)[1551~1604]|최연(崔衍)[1583~1658]|최휘지(崔徽之)[1598~1669]|최유지(崔攸之)[1603~1673]|최온(崔蘊)[1583~1659]|최익효(崔翊孝)
저자 최상중(崔尙重)[1551~1604]|최연(崔衍)[1583~1658]|최휘지(崔徽之)[1598~1669]|최유지(崔攸之)[1603~1673]|최온(崔蘊)[1583~1659]
편자 최익효(崔翊孝)
간행자 최익효(崔翊孝)
간행연도/일시 1939년연표보기
권수 17권
책수 5책
사용활자 신연활자(新鉛活字)
가로 20.4㎝
세로 32.5㎝
표제 帶方世稿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처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산 60-1[반포대로 201]

[정의]

1939년에 간행된 조선 중기 삭녕최씨(朔寧崔氏) 5인의 시문 합철집.

[편찬/발간경위]

『대방세고(帶方世稿)』는 최익효(崔翊孝)가 최상중의 『미능재집(未能齋集)』과 최연의 『성만집(星灣集)』, 최온의 『폄재집(砭齋集)』, 최휘지의 『오주집(鰲洲集)』, 최유지의 『간호집(艮湖集)』 등 남원에 세거한 최씨 일가의 시문집을 합철하여 편차한 것이다. 최연최온최상중의 아들이며, 최휘지최유지최연의 아들이다. 이 가운데 최유지최온에게 입양되었다.

[서지적 상황]

전남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은 4책〔缺帙〕의 형태로 남아 있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과 국립중앙도서관에는 17권 5책의 완질본으로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신연활자본으로 간행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이다.

[형태]

17권 5책이며, 연활자본이다. 표제는 대방세고(帶方世稿)이다. 책의 크기는 가로 20.4㎝, 세로 32.5㎝이다.

[구성/내용]

권두에는 홍량호(洪良浩)·윤광안(尹光顔)의 서(序)가, 권미에는 홍익효의 발(跋)이 붙어 있다. 『대방세고』의 체제는 1책에 최상중의 『미능재집』, 2책에 최연의 『성만집』, 3책에 최온의 『폄재집』, 4책에 최휘지의 『오주집』, 5책에 최유지의 『간호집』으로 짜여졌다. 각 문집은 목차 뒤에 시(詩)와 문(文)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문은 문체별 분류 안에 시대순으로 편차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최씨 일족 5인이 보여 준 시작(詩作) 양상과 광해군 이후 효종에 이르는 시기에 최씨 일족의 시문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보여 주는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 김봉문·호남인물지편찬위원회, 『호남인물지』(이화문화사, 1991)
  • 『남원지』(남원지편찬위원회, 1992)
  • 한국역사정보시스템(http://www.koreanhistory.or.kr)
  • 민족문화추진회(http://www.minchu.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