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602453
한자 松窩遺稿
영어음역 Songwa Yugo
영어의미역 Posthumous Works of Songwa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전라북도 남원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손앵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문집
관련인물 최찬(崔纘)[1777~1869]|최정섭(崔鼎燮)|최용섭(崔鏞燮)|최평(崔坪)
저자 최찬(崔纘)[1777~1869]
편자 최정섭(崔鼎燮)|최용섭(崔鏞燮)|최평(崔坪)
간행자 최정섭(崔鼎燮)|최용섭(崔鏞燮)|최평(崔坪)
간행연도/일시 1919년연표보기
권수 2권
책수 1책
사용활자 목활자(木活字)
가로 32.3㎝
세로 21.1㎝
표제 松窩遺稿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처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산 60-1[반포대로 201]

[정의]

1919년에 간행된 조선 후기의 유학자 최찬의 유고 시문집.

[개설]

최찬(崔纘)[1777~1869]의 자는 화언(華彦), 호는 송와(松窩)이다. 남원에서 태어났으며, 학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편찬/발간경위]

최찬의 4대손 최정섭(崔鼎燮)과 최용섭(崔鏞燮) 등을 비롯해 5대손 최평(崔坪) 등이 유문을 모으고 발(跋)을 붙여 1919년에 간행하였다.

[서지적 상황]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전북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1919년에 후기 목활자로 간행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이다.

[형태]

2권 1책이며, 목활자본이다. 표제는 송와유고(松窩遺稿)이다. 어미는 상향이엽화문어미(上向二葉花紋魚尾), 광곽은 사주단변(四周單邊)이다. 반곽 크기는 가로 16.5㎝, 세로 21.3㎝이다. 행수는 10행, 한 행의 자수는 20자, 주석은 쌍행이다.

[구성/내용]

책의 뒤에 1917년 현손 최평이 쓴 발문이 붙어 있다. 문집의 내용은 권1에 시(詩) 272수·권2에 잡저(雜著) 2편·가장(家狀) 1편·행적(行蹟) 1편·제문(祭文) 11편·상량문(上樑文) 1편·기우문(祈雨文) 1편·서(序) 1편·기(記) 3편 등이 실려 있고, 부록으로 가장(家狀)과 묘표(墓表)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전체 문집 중 시가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데, 대부분 일상을 그린 작품들이다. 특히 칠언율시의 경우는 만사가 대부분이다. 잡저의 「신보이정원류(新譜釐正源流)」는 화순최씨의 내력과 유파를 설명한 글이고, 「세덕편총론(世德編總論)」은 최씨 가문에서 관직과 문학·절개 등으로 세상에 알려진 인물을 연대별로 나열한 것이다.

「애대군가(哀大君歌)」와 「운전가(耘田歌)」 2편에는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살해와 관련한 애통한 심정이 잘 나타나 있다. 또한 제문 중의 「고망자문(告亡子文)」은 먼저 죽은 자식을 위하여 지은 글로서, 자식을 잃은 부모의 애통한 심정이 절절하게 묘사되어 있다.

[참고문헌]
  • 김봉문·호남인물지편찬위원회, 『호남인물지』(이화문화사, 1991)
  • 『남원지』(남원지편찬위원회, 1992)
  • 한국역사정보시스템(http://www.koreanhistory.or.kr)
  • 민족문화추진회(http://www.minchu.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